메뉴

한국의 축구 선수들 국가대표 철벽 수문장 김동준

     한국 프로구단들의 면모를 살폈다. 모든 운동이 그러하듯 중요한 것은 구단이 아니라  구단을 구성하는 선수들이다. 이제 한국 선수들을 살펴볼 차례다.

 

     201 8 1 18 현재 한국 국가 대표 선수들을 우선 살펴보자.  선수는 골키퍼 김동준 金東俊 선수다. 소속은 성남FC.

 

     201 8 현재 24살이다. 이제 프로 구력도 있고 개인기 역시 절정에 이르는 시기다. 풍생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3 K리그 드래프트에서 성남 일화 천마에 우선 지명을받고 연세대학교에 진학한 , 2016 성남 FC 입단했다. 3 12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2016 K리그 클래식 개막 경기에서  선발 출전했다. 경기 성적은 클린시트, 팀의 2-0 승리를 이끌었다. 개인적으로 1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된다. 2013, 14 연이어 툴롱컵Toulon Cup 출전해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다. 2015년에는 킹스컵 2경기에 출전, 한국의 대회 우승에 기여한다.

 

    김동준은 2015 8 대학선수로는 이례적으로 울리 슈틸리케 감독의 부름을 받아 성인 대표팀에 합류한다. 하지만 출전하지는 않았다. 2015 킹스컵 우승을 했으며, 2016 AFC U-23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기사=청로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