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터넷 화제 동영상이 들춘 중국 여론 공작의 단면

이번 양회를 통해 중국 당국이 국내 여론 통제뿐 아니라 해외에 가짜 언론 매체를 만들어 활동하도록 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들 언론 매체를 통해 마치 세계 여론 속에 중국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13일 중국 양회 기자회견의 한 장면이 중국 안팎의 관심을 끌었다. 남색 옷을 입은 여기자가, 붉은색 옷을 입고 질문하는 여기자를 황당하다는 듯 멸시하는 태도로 반응하는 장면이다. 이 장면이 중국 주요 방송들을 통해 그대로 전역에 보도됐다. 

사실 그냥 소리 없이 장면만 봐서는 남색 옷의 여기자가 대단히 무례한 모습이다. 그러나 이날 중국 네티즌들은 남색 옷 여기자를 칭찬했다. 
원인은 바로 홍색 옷의 여기자 질문 때문이다. 홍색 옷의 여기자는 질문을 하면서 먼저 중국 당국의 그동안 성과를 칭찬하는 등 답변보다 긴 질문을 마치 연기자가 대본을 외우듯 줄줄이 외운 것이다. 즉 시청자들을 위해 질문을 한 것이 아니라, 당국자 듣기 좋은 질문을 하면서 자신도 중국 전역에 방송을 탄 것이다.
본래 중국 당국은 양회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모으기 위해 양회 기간, 미녀 번역가나 전인대 대표 등을 인기인으로 띄운다. 또 여성과 남성 종업원의 다양한 사진을 세계 각 매체에 송출하기도 한다. 기자도 마찬가지여서 '최고 미녀 기자', '열혈 기자' 등의 이름으로 인터넷 인기인을 만들기도 한다.
남색, 홍색 옷 색이 대비되기도 하지만 남색 옷 여기자의 태도와 그 멸시하는 태도에 아랑곳하지 않고 꿋꿋하게 질문을 마친 홍색 옷 여기자의 태도가 대비되면서 이 장면은 당장 중국은 물론 중국 양회에 관심 있는 네티즌들의 이목을 끌었다. 온갖 페러디 장면들이 인터넷을 떠돌았다. 보쉰의 영상 한 장면이다. 

마침 홍색 옷의 여기자는 질문을 하기 전에 자신의 신분을 밝힌 상태였다. 전 미국 TV 방송국(AMTV) 기자 장후이쥔张慧君이었다. 이어 중국 네티즌들은 남색 옷 여기자의 신분도 밝혔다. 경제지 상하이 제일재경의 량상이梁商宜였다.
특히 네티즌들은 전 미국 TV라는 매체의 실체를 찾아본 뒤 더욱 놀랐다. 보쉰에 따르면 이 매체는 지난 2004년 미국에서 설립된 회사로 본부 건물 역시 네티즌들 사이에 공유됐다.  

보기에 황당할 정도의 회사지만, 이 회사는 그동안 중국 CCTV의 업무를 많이 해준 것으로 전해졌다. 당장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가짜 해외 매체에 대한 이야기가 돌기 시작했다. 중국 당국이 세계 여론 속에 중국에 대한 지지 여론이 적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낸 가짜 매체라는 것이다. 
이렇게 쏟아진 의혹과는 반대로 량상이에게는 지지 세력이 대거 늘었다.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수천 명에 불과하던 양상이의 SNS 팔로워가 10만여 명으로 수시간 내 급증했다.
그동안 중국 양회 때 질문하는 기자를 선택을 할 때 중국 당국이 미리 기자와 짜고 질문도 사전에 정해진 것만 하도록 한다는 것은 이미 베이징 특파원들을 통해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처럼 가짜 해외 매체를 만들어 활용한다는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었다. 중국 당국은 지금은 관련 사실이 더 확산되는 것을 통제하고 있다고 중화권 매체들은 전했다. 양상이 기자증이 취소됐다는 설까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둘 옷의 색이 너무 독특하다는 점 등을 들어 둘 모두가 중국 당국이 지정해 활용하는 기자들일 수 있다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기사=이동경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