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평창올림픽 폐막식 장식할 중국 장이모우 감독 <베이징 8분>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식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영화감독 장이머우(張藝謀) <베이징 8분> 공연이 펼쳐진다. 제목 그대로 8분 짜리 공연인 이 공연은 올림픽 폐막식 때마다 차기 개최지를 소개하는 관행에 따른 것이다.  

이머우 감독은 지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회식 축하공연의 총감독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종이·인쇄·자기·나침반 등 중국의 발명품을 만리장성·병마용·실크로드 등과 함께 화려한 색감으로 표현해 세계적인 이목을 집중시켰다.

장이머 감독은 신화통신과 인터뷰에서 평창올림픽에서 보여줄 <베이징 8분> 현대 중국의 모습과 함께 차기 동계올림픽 개최지로서 베이징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세계를 향해 따뜻한 환대의 표시를 담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올림픽에서 5천년의 역사를 얘기했다면 평창에서는 오랜 역사를 되풀이하기 보다는 당대 중국의 이룬 새로운 성과를 보여주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news1


       이번 공연에는 동계올림픽이라는 특징에 맞춰 스케이팅과 스키  겨울 스포츠가 소재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또 실외 경기장인 평창올림픽스타디움의 행사 당일 기온이 영하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하이테크 장비들이 혹한의 추위에 견딜  있도록 준비하는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자 윤진희 출처 news1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