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빙속 여제 이상화, 감동의 은메달! 중국 네티즌 반응은?

 

 

 


지난 18일 '빙속 여제' 이상화 선수가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에서 37초 33을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했습니다. 
3연속 금메달은 놓쳤지만 아시아 선수로는 최초로 3연속 메달을 획득하며 스피드 스케이팅 역사의 전설적인 선수가 되었는데요. 
이상화 선수는 경기가 끝난 후 금메달을 획득한 고다이라 나오 선수와 함께 포옹하며 격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중국 네티즌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함께 알아보시죠!

 

 

 

- 한국 사람들이 금메달만 아니면 기쁘게 축하할 수 있어
                        - 네가 웨이보에서 이렇게 말하는 건 스스로 남에게 추태를 보이는 거야
- 내 생각에 중한 양국은 서로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 일본이랑만 잘되고 싶어 하는 걸

- 선의의 라이벌과 국가를 초월한 스포츠 정신도 나쁜 사람들이나 마음이 좀스러운 사람의 혐오를 막지 못하네. 중국의 증오 교육이 홍위병도 만들어내고 나쁘지 않네.

- 틈만 나면 분수도 모르고 다른 사람한테 따지기만 하는 게 이런 올림픽 정신에서 배우는 것만은 못하네

- 이상화는 정말 실력파야 국가로 인해서 실력 있는 운동선수를 비판하지 말라고 고다이라 나오랑 이상화를 위해 응원할게! 중국 선수들도 파이팅!

악플러들이 이상화 선수가 금메달을 차지하지 못한 내용을 두고 잘 됐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네티즌들은 이상화 선수를 진심으로 응원하는 반응이었습니다. 
세 번의 올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빙속 여제'임을 증명한 이상화 선수!
앞으로의 선수 생활에서도 즐거운 스케이팅이 되기를 해동 주말이 응원합니다!

글=최현승 (崔炫承) (gustmd1113@hanmail.net)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