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둘째 출생률이 첫째보다 많다?

 


 

 

한국에서는 현재 낮아지는 출생률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은 상황이 정반대였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조절하기 위해 '1가구 1자녀'로 대표되는 산아제한 정책을 펼쳤던 중국인데요. 최근에는 1가구 2자녀까지 허용함으로 엄격했던 산아제한 정책을 다소 완화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국가 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2017년 중국에서 태어난 신생아 수는 1786만 명 혹은 1723만 명이라고 합니다. 
2016년 2자녀 허용 정책을 실시한 이후로 출생률은 0.84‰ 내지는 0.32‰의 상승세를 보이며 소폭이나마 오르고 있는데요. 
유의할 점은 첫째 아이가 태어나는 비율보다 둘째 아이가 태어나는 비율이 더 높다고 합니다. 

 

 

 


신생아 중 둘째 아이의 수는 2016년보다 11% 상승한 883만 명이었는데요. 
이는 전체 신생아 중에서 51.2%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한편 신생아 중 첫째 아이의 수는 724만 명이었습니다. 둘째 아이의 수보다 약 20% 적은 수치인데요. 

왜 첫째 아이의 비율이 낮은 건지에 대해서 중국의 '시나왕'(新浪网)에서는 재밌는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부모들이 둘째를 가지고 싶어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첫째도 가지고 싶어 하지 않기 때문이다. "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는 가지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건데요. 
실제로 2017년도 첫째 아이의 경우 출생 수가 작년보다 249만 명이나 감소하여서 이 견해가 틀리지 않는다고 할 수 있겠네요. 

이렇게 아이를 포기하는 원인으로 해당 기사에서는 독신들의 결혼 연령대가 높아지는 경향, 자녀 양육비가 많이 드는 점,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서비스가 부족한 점, 여성의 직업 스트레스가 과도한 점을 들었습니다. 

해당 기사는 아래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처럼 현재 한국에서도 많은 부부들이 출산을 포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인은 대게 중국과 비슷한데요. 부부가 둘이 생활하는 것보다 자녀를 키우는 게 훨씬 힘든 일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젊은 나이대의 부부에게 자녀는 불합리한 선택처럼 보일 수 있는데요. 
앞으로 여러여 건들이 많이 개선되어서 많은 가정에서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글=최현승 (崔炫承) (gustmd1113@hanmail.net)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