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타오바오 인기상품] 타오바오 검색어 급상승 순위!

 


 

 

2018 년을 맞아서 타오바오(淘宝)와 톈마오(天猫)에서도 여러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새해 첫날부터 온라인 소비자들의 구매를 자극하고 있는데요. 
지난 12월에 인기가 높아진 상품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위부터 10위까지 지금부터 살펴보시죠!

 

 

 

1위는 'KOF 조이스틱'(摇杆 拳皇)입니다. 163위나 상승하며 타오바오 급상승 검색어 1위를 차지했는데요. 

 

 

 


 

 

'KOF 시리즈'는 일본에서 대전격투게임으로 유명한데요. 
94년 처음 출시된 이후 격투게임으로 '스트리트 파이터'와 쌍벽을 이루는 인기를 누리기도 했습니다. 
2016년 새로운 시리즈인 '더 킹 오브 파이터즈 XIV'를 출시하며 격투 게임 팬들을 설레게 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해당 조이 스틱은 컴퓨터와 게임기는 물론이고 스마트폰과도 연동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작은 화면에서 답답하게 버튼을 누르는 게 아니라 오락실에서 하는 것처럼 시원하게 게임할 수 있겠네요! 

2위는 절단기 (切墙机)입니다.  

 

 

 


 

 

가정용부터 공사 현장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사업용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었는데요.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89위안 (한화 약 14530 원) 상품부터 
벽이나 땅도 쉽게 자를 수 있는 1480위안 (한화 약 241600 원) 등의 상품까지 다양한 종류의 상품들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시원하게 잘리네요. 

3위는 니트 (线衣)입니다. 

 

 

 


 

 

39위안 (한화 약 6500원)에 배송비가 무료라면 일단 사고 보는 게 좋지 않을까 싶을 정도네요. 
그래서인지 7만 명 가까운 사람들이 구매한 제품입니다. 
따뜻한 니트 한 장 있으면 겨울부터 봄까지 뭘 입어야 할지 걱정 없을 것 같네요!

4위부터 10위까지의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2월에도 역시 의류 관련 검색어가 많았습니다. 
기모 내의(加绒加厚打底衫)와 여자 상의 (上衣女), 가을 옷(秋装) , 여아용 기모 레깅스 (女童打底裙裤加绒加厚), 카디건 (针织衫) 등 
4위부터 8위까지 전부 패션 관련 상품들이었습니다. 
이 외에도 침대 시트 4종 세트(床单四件套)와 백팩(双肩包) 등이 나머지 9위와 10위를 차지했습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