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타오바오 인기상품] 타오바오 검색어 급상승 순위!

 

광군 절도 지나고 날씨가 점점 추워지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도 인터넷으로 겨울 대비 상품들을 점점 많이 사고 있는 추세인데요. 
중국에서는 어떤 상품들을 많이 검색했을까요? 함께 알아보시죠! 

 

 

 

1위는 '따뜻한 물 주머니'(热水袋)입니다. 

'따뜻한 물 주머니'(热水袋)는 겨울철에 사용할 수 있는 보온용품인데요. 
손 난로나 전기를 많이 써야 하는 전자제품에 비해 저렴한 가격에 뜨거운 물만 부어주면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바로 아래처럼 물을 부어주고 잠그면 끝인데요.

 

 

9.9위안(한화 약 1631원)이라는 간편한 가격이라 이미 많은 사람들이 구매했다고 합니다. 
또한 제품 위로 자동차가 올라가도 터지지 않을 만큼 튼튼해서 터질 염려도 없다고 하네요!

2위는 '온풍기'(暖风机)입니다. 

 

 

역시 겨울철에 주로 사용하는 용품인데요. 
중국에서 최근 인기 있는 제품군은 가벼우면서 사무실에서나 집에서 혼자 있을 때 가볍게 사용할만한 온풍기가 인기입니다. 
한화로 1만 원 이하인 가격대에 심지어 무료배송인(包邮) 제품도 있군요. 

3위는 '핫팩'(暖宝宝)입니다. 

붙이는 핫팩부터 주머니에 넣고 사용하는 핫팩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있는데요. 
한국에서처럼 귀여운 캐릭터들이 함께 디자인되어 나오는 제품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랭킹에서는 1위부터 3위까지 보온용품이 전부 차지했습니다. 
4위에서 10위까지의 제품들에서도 겨울철 옷이나 난로 등이 많았는데요.
4위부터 10위까지도 함께 살펴보시죠.
겨울철에 입을 수 있는 '여성용 내복'(4위), '여성용 단화'(7위), 
겨울철 여성용 장갑(9위), 겨울철 여성용 조끼(10위) 등의 겨울 패션 용품들부터
동절기 세일이 있는 유니클로(8위)까지 사람들이 겨울을 대비하는 모습이네요. 

이 외에도 겨울철 건조한 공기를 해결해줄 '가습기'(5위), 
여전히 인기 있는 충전식 난로(6위) 등의 상품이 많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겨울철 대비가 한창인 것 같습니다. 
지금도 날씨가 추운데 지금보다 더 추워지면 정말 따뜻한 용품이 필요하겠죠!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