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을 정말 지능적으로 쓰는 ‘악성 체리피커’들이 중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체리피커는 흔히 과일 케익에서 과일 체리만 먹는 듯 혜택만 누리는 약은 소비자를 지칭하는 말이다.
이번 중국에서는 AI를 활용해 제품이 고장난 듯 사진을 조작해 환불만 신청하는 이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사실상 범죄행위다.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일부 소비자들이 AI를 이용해 가짜 사진을 만들어 ‘환불만 신청’을 하는 사례가 발생해, 많은 상인들이 온라인에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소비자가 상품 품질 문제로 ‘환불만’을 신청하면, 상인들은 보통 사진을 요구해 상품이 실제로 손상되었음을 증명하게 하고, 일부는 악의적 환불을 막기 위해 상품을 파손하는 영상을 요구하기도 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제 일부 구매자들은 AI를 이용해 상품이 파손되거나 하자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가짜 사진을 제작해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AI 이미지의 효과가 매우 정교해 상인과 플랫폼의 판별 비용을 크게 높이고 있다.
AI 기술이 새로운 수단이긴 하지만, 이러한 투기적 행위가 성공하는 것은 결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오래된 허점 때문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지적이다.
지난해 11월 시장감독총국은 6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면담해 ‘환불만’이 상인의 생존 공간을 압박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시정을 요구했다. 올해 8월에도 시장감독총국은 다시 공개적으로 입장을 내고, 온라인 거래 플랫폼이 ‘환불만’과 강제 운임보험 같은 불합리한 제한을 취소하도록 촉구했다.
몇몇 플랫폼들은 공개적으로 성명을 내거나 실제 행동으로 ‘환불만’ 정책을 취소하거나 개선하겠다고 했지만, 이를 전면적으로 없애는 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자칫 건전한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격이 높지 않은 소상품들은 단가가 10~20위안(약 1,952 원 ~약 3,904 원)에 불과해 ‘환불만’을 없애면, 반품·교환 시 왕복 택배비와 상인 및 플랫폼이 들이는 인력 검증 비용이 오히려 상품 가치보다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이 바로 ‘환불만’이 처한 난처한 상황이라고 했다. 취소하지 않으면 투기적 행위를 부추기고, 전면적으로 취소하면 또 비용 부담이 커진다고 했다. 소수 투기자의 행위가 정상적인 전자상거래 질서를 어지럽히고 온라인 쇼핑 모델의 거래 비용을 끌어올린 셈이다.
중국 매체들은 단속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런 혼란을 다스리려면 전체 규칙을 최적화하는 것 외에도, 소수 투기 집단에 대한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 소수의 해를 끼치는 사람들 때문에 소상공인들이 대응에 지치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중국 매체의 주장이다.
과연 정답일지는 두고 볼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