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에 대해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UBS, 도이체방크, 피치 등 여러 국제 기관들이 잇따라 중국 2025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나선 것이다.
중국 당국은 “서구 기관들이 중국 경제를 제대로 보기 시작했다”며 반기고 나섰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은 이 같은 소식을 전하며 “국제 사회가 중국에 ‘신임표’를 던진 것은 우리 경제가 지속적으로 전환·고도화되고 신질적 생산력이 가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이들 서방의 경제 기관들은 “실제 행동으로 중국 시장에 대한 신뢰를 표명”한 셈이다. 관련해 중국 매체들은 다수의 외국 자본 기관들은 중국의 정책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기업의 수익 전망이 개선됨에 따라 중국의 기회와 중국 자산의 매력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7월 규모 이상 고기술 제조업의 부가가치가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했다. 그중 집적회로 제조, 전자 전용 소재 제조 업종의 부가가치가 각각 26.9%, 21.7% 증가했고, 아날로그 칩, 산업 제어용 컴퓨터 및 시스템 제품의 생산량이 각각 29.8%, 21.4% 늘었다.
동시에 고기술 제조업 투자는 빠른 성장세를 유지하여, 1~7월 항공·우주기기 및 장비 제조업 투자가 33.9%, 컴퓨터 및 사무기기 제조업 투자가 16.0% 증가했다.
새로운 기술 혁명과 산업 변혁을 맞아 각종 정책은 더욱 직접적이고 정밀해졌고, 과학기술의 힘이 빠르게 현실에 적용되면서 경제가 새로운 동력으로 강하게 나아가고 있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상무부 부부장이자 국제무역 협상 부대표인 링지에는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중국의 초대규모 시장, 완비되고 효율적인 생산·공급망, 새로운 기술 혁명과 산업 변혁의 풍부한 응용 장면에서 비롯된 종합적 우위가 ‘중국에 투자하는 것이 곧 미래에 투자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깊이 설명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시장화, 법치화, 국제화된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해 외국인 투자에 장기적인 안정성과 확실성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링지에는 이어 “향후 다수의 외국 자본 기업들이 각종 정책 조치가 지속적으로 효과를 발휘함에 따라 중국 경제의 발전 질이 꾸준히 제고되어 세계 경제의 회복과 성장에 더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