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중국 베이징 등 4대 직할시 인구 공히 줄어

 

중국의 4대 직할시인 베이징, 상하이, 충칭, 텐진 등 도시들의 상주 인구가 지난 2024년말 현재 전년말에 비해 줄거나 제자리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인구감소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은 지난 2022년 7월 이후 본격적인 인구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감소는 농촌이나 벽지 인구의 감소를 중심으로 이뤄졌었다.

소위 중국의 최일선 도시들에게서 고르게 상주인구 감소 현상이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의 4대 질할시인 경진호유(베이징, 톈진, 상하이, 충칭)에서 인구 모두 증가하지 않거나, 감소세를 보였다. 이들 4개 도시는 중국의 도시 중 가장 높은 행정급 직할시들이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직할시들이 2024년에 집단적으로 인구 문제에 빠졌다고 분석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의 경우, 2024년 말 상주 인구는 2,183.2만 명으로, 전년 대비 2.6만 명 감소했다. 상하이의 경우, 2024년 말 상주 인구는 2,480.26만 명으로, 전년 대비 7.19만 명 감소했으며, 이는 현재 인구 수치를 발표한 주요 도시 중 감소폭이 가장 큰 수치다.충칭의 경우, 2024년 말 상주 인구는 3,190.47만 명으로, 전년 대비 0.96만 명 감소했다. 2023년에는 21.91만 명이 줄어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감소한 도시였다. 톈진의 경우, 2024년 말 상주 인구는 1,364만 명으로, 전년과 동일하여 증가가 없었다.

중국 매체들은 “2024년 베이징, 상하이, 톈진, 충칭 등 네 개 직할시의 상주 인구는 세 도시는 감소하고, 한 도시는 보합세를 보여 어느 곳도 인구가 증가하지 않았다”며 “역사를 되짚어보면, 이는 보기 드문 장면”이라고 평했다.

중국은 현재 고령화 사회와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해 출산율을 높이는 다양한 정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일부 지방정부에서 출산 보조금을 지급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관련해서 중국 매체들은 검토사항이지, 당장 시행되는 정책은 아니라고 전하기도 했다.

다음은 중국의 도시별 인구 증가 순위다.

 

1위 선전

2위 광저우

3위 허페이

4위 창사

5위 난창

6위 항저우

7위 닝보

8위 지난

9위 청두

10위 취엔저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