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중국에서 89만 명 가까이 비리 적발돼 조처돼

 

‘88만9000명’

지난 2024년 한 해 중국에서 기율 위반으로 적발돼 처벌됐거나 처벌을 앞둔 이들의 숫자다. 90만 명에 육박하는 수치다.

 

한국으로 치면 청주(인구 84만 명)나 화성(인구 90만 명) 시 전체 인구가 비리로 적발된 셈이다.

아무리 중국이 인구가 많지만, 한 해 비리 적발 처벌 인원으로는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현 지도부가 비리적발을 빌미로 권력 장악을 공고히 하고 있다는 의혹도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중앙기율검사위원회와 국가감독위원회는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2024년 감사결과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한해 전국 기율검사감독기관은 총 87만7000건을 적발해 88만9000명을 처벌할 예정이다.

이 중 성·성(省)·성(省) 및 성(省)급 이상 간부 73명만이 포함됐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전국 기율검사감독기관은 총 356만3000건의 청원신고를 받았다. 이 중 100만7000건은 신고·고발에 관한 청원신고다.

신고 고발 건수 가운데 217만5,000개의 신고가 혐의점이 인정돼 조사처리됐다.

총 87만7,000건의 사건이 접수되었는데, 이 중 성(省) 및 성(省) 및 장관급 간부 73명, 부서 및 국급 간부 4,348명이 연루돼 비리 혐의로 조치됐다.

또 현 및 부서급 간부 3만5,000명, 향(鄕) 및 과장급 간부 12만1,000명, 마을당 지부 및 촌 위원회 책임자 10만4,000명의 전·현직 간부도 조사를 받고 조처됐다.

 

처벌 받은 88만9,000명 가운데 68만0,000건은 당 기율 제재, 27만건은 정부 제재였다.

성(省) 및 성(省) 이상 간부 73명, 부서 및 국급 간부 3,838명, 현(縣) 및 부(縣)급 간부 3만1,000명, 향(鄕) 및 과장급 간부 11만2,000명, 일반 간부 12만8,000명, 기타 농촌 지역 및 기업 간부 61만3,000명이 처벌을 받았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전국의 기율 검사 및 감독 기관은 214만 8,000명을 대상으로 '4가지 형태'로 비판, 교육 등의 조처를 받았다. 124만8000명이 1차 비판·교육·대처에 동원돼 전체의 58.1%를 차지했다.

2차 조처는 75만6,000 명의 사람이 처리되어 35.2 %를 차지했다. 7만2,000 사람이 세 번째 양식에 의해 처리되어 3.3 %를 차지했다. 네 번째 양식은 7만3,000명이 조처를 받았다. 전체 3.4%를 차지하는 수치다.

 

이와 함께 뇌물수수와 뇌물수수를 함께 수사할 것을 주장해 2만6000명을 뇌물수수 혐의로 입건하고 4271명을 검찰청으로 이관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