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타오바오 인기상품] 타오바오 검색어 급상승 순위!

 

안녕하세요! 해동입니다. 
중국에서 유학했거나 혹은 중국에서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타오바오는 꼭 필요한 전자상거래 사이트입니다. 

오늘은 타오바오에서 어떤 검색어가 인기였을까요? 
지금부터 함께 인기 급상승 검색어 함께 살펴보시죠.  

 


1위는 아이폰X 케이스가 차지했습니다. 
최근 애플에서 아이폰X를 발표했는데요. 
신형 스마트폰 출시 이후 중국 사람들의 뜨거운 관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 판매자는 28위안 한화로 약 4750원의 가격에 물건을 판매하였는데요. 
배송비가 포함되지 않은 가격임에도 1만351개를 팔았다니 대단하네요!

2위는 '털 슬리퍼'입니다. 
어느덧 가을을 지나 겨울이 성큼 다가온 듯한 요즘 날씨인데요. 
중국에서도 겨울이 다가오고 있나 봅니다. 

 

 



좌식 문화가 발달된 중국에서는 집안에서 슬리퍼를 신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 만큼 다양한 가격대와 스타일의 슬리퍼들이 많았습니다. 
인기있는 슬리퍼의 경우는 이미 15만개 넘게 팔렸습니다. 

3위는 바로 '가을 및 겨울 원피스' 입니다. 

 

 



다양한 디자인과 저렴한 가격대의 원피스들이 많았는데요. 
사진속의 가장 싼 원피스는 중국에서 배송비 무료로 29.98위안 한화로 약 5100원 정도라니
혹시 모르니 그냥 하나 구매해둬도 괜찮을 것 같네요!

 

 


 외에도 카펫 (4위) , 니트 원피스 (5위) , 목도리 (6위) , 장갑 (7위) , 와일드 팬츠 (8위) , 여성용 트렌치 코트 (9위) , 여성용 캐시미어 스웨터 (10위) 등이 인기 급상승 검색어 순위에 올랐습니다.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시기인 만큼 겨울용 의류가 빠르게 인기가 오르고 있네요. 
이상 타오바오 검색어 급상승 순위였습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