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진정한 프로근성 현대모터스FC

  

 

 

  

 승부에 대한 집착이 어느 프로팀보다 강한 전북 현대모터스FC다. 그래서 경기가 더 재미있다. 전통적인 강팀이기도 하다. 현재 K리그 클래식의 강팀이다. 모체는 전북 버팔로다. 전북 버팔로가 1994 시즌에 K리그에 참가했으나 재정 문제로 시즌 후 공식적으로 해체되면서 그 뒤를 이은 게 현대모터스다. 1994년 12월 현대자동차 지원 아래 독립법인체로 창단했다. 본래 이름이 전북 다이노스 축구단이었으나 2000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바꿨다. 공식적으로 한국프로축구연맹에 의하여 전북 버팔로와는 별개의 구단이라고 규정되어 역사와 기록을 승계하지 않고 있다. 클럽의 공식적인 연혁 또한 전북 다이노스의 창단부터 시작되고 있다. 

 팀은 2000년대 이후로 K리그에서 가장 성공한 클럽 중 하나로 꼽힌다. 2009, 2011, 2014, 2015 K리그 우승, 2000년, 2003년, 2005년 FA컵 우승, 2004년 슈퍼컵 우승, 2011년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2002년 아시안 컵 위너스 컵 준우승, 2004년 AFC 챔피언스리그 4강, 2006년과 2016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말 그대로 화려한 성적이다. 2006, 2016년 FIFA 클럽 월드컵에도 참가했다.

 올 2017년 시즌에서는 시즌 개막전을 앞두고 주력인 미드필더 이재성이 정강이 골절상으로 인해 장기 결장한다는 비보가 전해졌다. 그러나 개막전인 호남 더비에서는 김진수의 화려한 프리킥골과 김신욱의 극장골로 2-1 승리를 거두며 개막전 6연승을 기록했다.

 리그 2라운드 수원전에서 전북은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경기중 최고의 활약을 펼친 이승기가 수원 선수 서정진의 살인태클로 인해 부상당하게 되었다. 리그 3라운드 인천 원정에서 전북은 무승부를 거뒀고, 이어 4라운드 역시 부진 속에서도 무승부를 기록해 무패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