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지난 11월 승용차 판매량 242만 3000대 ... 16% 이상 급증

‘242만3000 대’

중국에서 지난 11월 팔린 자동차 수다. 전년동월보다 16.5% 급증했다. 전월보다도 7% 이상 늘어난 수치다.

중국 올해 누적 판매량은 2,025만7000대를 기록했다. 전년보다 5% 가까이 는 수치다.

중국 자동차 시장이 성숙기로 접어들었다는 분석을 무색하게 하는 증가세다. 중국은 전기차를 중심으로 가성비를 최대 무기로 하며 글로벌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11일 중국 승용차연합회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11월 전국 승용차 시장 소매량은 242.3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16.5% 증가했다. 전월 대비로는 7.1% 늘었다. 올해 누적 소매량은 2,025만7000 대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11월 일반 내연기관차 소매량은 115.5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7% 줄었다. 다만 전월 대비 8% 증가하였다. 이에 올 1~11월 누적 일반 내연기관차 소매량은 1,066만3000 대로 전년 동기 대비 15% 줄었다.

결국 11월 차량 판매 증가는 전기차가 주도한 것이다. 이에 지난 11월 국내 신에너지차 소매 침투율은 52.3%에 달하였다.

11월 중국 자체 브랜드 소매량은 154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34%, 전월 대비 4% 증가하였다. 같은 달 자주 브랜드의 국내 소매 점유율은 64.1%로 전년 동월 대비 8.7%p 증가하였고, 2024년 누적 자주 브랜드 점유율은 60%로 전년 동기 대비 8.5%p 상승하였다.

11월 주요 합작 브랜드 소매량은 60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9% 감소하였으나 전월 대비 6% 증가하였다. 11월 독일 브랜드 소매 점유율은 15.6%로 전년 동월 대비 3%p 하락하였으며, 일본 브랜드는 12.4%로 3.1%p 하락, 미국 브랜드는 6.4%로 1.5%p 하락하였다.

11월 고급차 소매량은 26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4% 감소하였으나 전월 대비 26% 증가하였다. 11월 고급 브랜드 소매 점유율은 10.9%로 전년 동월 대비 2.2%p 하락하였고, 전통 고급차 시장 소매 점유율은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기타 부문에서는 11월 승용차 수출(완성차 및 CKD 포함)이 39.6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5% 증가하였으나 전월 대비 10% 감소하였다. 1~11월 누적 승용차 수출은 438.7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하였다.

11월 승용차 생산량은 301.8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14.0%, 전월 대비 13.9% 증가하였다. 이 중 고급 브랜드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12% 감소하였으나 전월 대비 28% 증가하였고, 합작 브랜드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12% 감소하였으나 전월 대비 26% 증가하였다. 자주 브랜드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32%, 전월 대비 8% 증가하였다.

11월 전국 승용차 제조사 출하량은 294.0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15.3%, 전월 대비 7.6% 증가하였으며, 역대 월간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올해 누적 출하량은 2,411.5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하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