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10월 전력 소비 전년보다 4% 이상 늘어

중국의 지난 10월 전력 사용량이 전년동월 대비 4% 이상 급증했다. 전기는 사회 활동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다.

특히 모든 게 IT화한 현재 산업은 전기가 필수 요소다. 컴퓨터를 돌리고, 각종 센서를 작동시키는 데 전기가 소모된다. 사회 각종 활동도 마찬가지다. 화려한 도시의 생활일수록 전기 소모가 많다. 여름에는 에어컨 등이, 겨울에는 난방 설비에 전기가 필요하다.

전기 소모가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의 부가가치 생산활동도 늘었다는 의미다.

22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전력사용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0월 전체 사회 전력 소비량은 7,742억 kWh로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1차 산업 전력 소비량은 106억 kWh로 전년 동월 대비 5.1% 늘었으며 2차 산업 전력 소비량은 5,337억 kWh로 2.7% 증가했다. 3차 산업 전력 소비량은 1,367억 kWh로 8.4% 늘었다.

도시와 농촌 주민들의 생활 전력 소비량은 932억 kWh로 8.1% 증가했다.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된 전체 사회 전력 소비량은 8만 1,836억 kWh로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했으며, 이 중 규모 이상의 산업 발전량은 7만 8,027억 kWh로 집계되었다.

산업별 누적 전력 소비량은 1차 산업은 1,141억 kWh로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했고, 2차 산업은 5만 2,721억 kWh로 5.6% 늘었다. 3차 산업은 1만 5,315억 kWh로 11% 증가했다.

또 도시와 농촌 주민들의 생활 전력 소비량은 1만 2,659억 kWh로 12.3% 늘었다. 중국전력기업연합회는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전력 소비가 다음 네 가지 특징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1차 산업의 전력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축산업 전력 소비는 9.8% 증가하며 비교적 빠른 성장세를 보였고 어업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2차 산업 전력 소비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고기술 및 장비 제조업이 두드러졌다.

네 개의 고에너지 산업 전력 소비는 합산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화학 원료 및 화학제품 제조업은 6.6%, 비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업은 4.6% 각각 늘었다.

비금속 광물 제품업과 철강 제련 및 압연 가공업은 각각 1.5%, 1.1% 감소했다. 고기술 및 장비 제조업은 전체적으로 10.9% 증가했다. 전기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은 17.4%,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기기 제조업은 14.2%, 계측기 제조업은 11.3%,자동차 제조업은 10.6% 증가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3차 산업 전력 소비는 빠른 증가세를 이어갔다. 특히 충전 및 교체 서비스업의 전력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54.1%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주민 생활 전력 소비는 빠르게 증가했다.

다만, 고온 날씨의 영향이 사라지면서 10월 전국 도시 및 농촌 주민 생활 전력 소비 증가율은 9월 대비 19.7%p 크게 하락했다. 이는 10월 전체 사회 전력 소비 증가율 둔화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