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시 1~10월 소비총액 전년동기 대비 1.3% 감소

 

베이징시의 올 1~10월 사회 소비품 총액이 전년보다 1.3% 줄었다. 중국의 소비부진의 현상이 베이징시 통계에서 극명하게 보여지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10월에는 중국 당국이 소비촉진을 위해 벌인 ‘이구환신’(구형제품을 신형으로 교환 지원) 정책이 실시돼 그 결과가 반영된 달이다. 정책 효과가 나오기는커녕 오히려 감소세를 기록한 것이다.

21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시 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베이징 소비재 시장 운영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0월에는 소비재 교체 장려 정책과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판촉 활동에 힘입어 베이징 소비재 시장이 일부 회복세를 보였다. 1~10월 동안 베이징시의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 감소폭이 축소되었으며, 특히 온라인 소매가 빠르게 성장하며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고급 소비재 위주의 소비가 이뤄지는 특징을 보였다.

1~10월, 베이징시는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 1조 1,590억 위안(약 223조 1,422억 원)을 달성해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다만 감소폭은 3분기 대비 0.3%포인트 축소되었다. 이 중, 한도를 초과한 도·소매업과 숙박·요식업의 온라인 소매액은 4,704억 8천만 위안(약 90조 5,815억  원)으로 5.4%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3분기 대비 0.8%포인트 상승했다. 온라인 소매가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6%로, 최근 몇 년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소비 형태별로 보면 상품 소매액은 1조 532억 6천만 위안(약 29조 4,967억  원)으로 0.9% 감소했으며, 요식업 수입은 1,057억 5천만 위안(약 20조 3,600억 원)으로 5.2% 감소했다.

한도를 초과한 도·소매업 주요 상품군별로는 통신기기, 금은보석, 스포츠·레저용품 등 고급 소비재가 각각 소매액 1,440억 위안(약 27조 7,243억 원), 466억 3천만 위안(약 8조 5,926억  원), 195억 위안(약 3조 7,543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6%, 17.3%, 7.3% 증가했다. 곡물·식품류 상품은 소매액 775억 5천만 위안(약 14조 9,307억 원)으로 6.9% 증가했으며, 가전 및 음향·영상 기기류 상품은 소매액 416억 9천만 위안(약 8조 265억 원)으로 11.9% 증가했다. 이 중, 고효율 등급 가전제품과 스마트 가전제품의 판매는 가전 및 음향·영상 기기류 상품의 평균 성장률을 웃돌았다. 자동차, 문화·사무용품, 생필품 등 상품의 소매액은 여전히 감소세를 보였으나, 감소폭은 3분기 대비 모두 축소되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