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국제무역중재, 올 1~8월 중재 건수 4,131건, 전년 동기보다 28.09% 늘어

올 1~8월 중국국제경제무역중재위원회(이하 '무역중재')의 중재 사건 건수가 4,13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09% 늘었다.

분쟁 금액은 1,273억 4,600만 위안, 전년동기 대비 50%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 2023년 중국 무역중재는 역대 처음으로 접수 사건 5,000건 돌파, 분쟁 금액 첫 1,500억 위안 초과 기록을 했었다.

 

중국 무역중재는 중국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자연히 그 역할도 커지고 있다. 국제 경제 규모에 맞게 글로벌 무역 규정도 주도하겠다는 게 중국의 복안이다.

 

27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무역중재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재 운영 현안 데이터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 1~8월 동안 무역중재 새로 접수한 사건 수는 4,13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09% 증가했다. 분쟁 금액은 1,273억 4,600만 위안(약 24조 2,37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18% 늘었다.

외국과 관련된 사건은 466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2% 증가했으며, 사건은 81개국을 포함했다고 한다.

 

왕청제 무역중재 부주임 겸 사무총장은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최근 몇 년 동안 무역중재의 연간 중재 사건 접수량, 사건 금액 총액, 그리고 관련 당사국 수는 국제 중재 기관 중 상위권에 들었다."고 말했다.

 

왕 총장은 “무역중재가 2023년에 접수한 사건 수가 처음으로 5,000건을 돌파했고, 분쟁 금액이 사상 처음으로 1,500억 위안(약 28조 5,495억 원)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그는 “사건의 국제화 특성이 더욱 두드러져, 연내 사건이 88개국과 지역에 걸쳐 있었으며, 누적 국가 수는 165개국에 달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무역중재 국제화에는 '일대일로' 사업이 크게 일조를 했다. 해당 사업 대상 국가들이 중국 회사와 분쟁을 중국 무역중재에서 해결하려 한 것이다.

 

중국 당국은 제20차 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통과된 《중앙위원회 결정: 중국식 현대화를 추진하고 전면적 개혁을 심화하는 데 관한 결정》을 통해 "국제 상사 중재 및 조정 제도를 개선하고, 세계적인 일류 중재 기관과 로펌을 육성할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왕 총장은 70여 년 동안 중국의 대외 중재는 국내 개혁 및 대외 개방의 시대적 흐름과 발맞춰왔으며,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밝혔다.

중국 무역중재는 올 1월 1일에 무역중재 제10판 <중재 규칙>을 시행하고 있다. 영어 버전을 기반으로 무역중재가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일본어, 한국어 7개 언어의 새 중재 규칙 버전을 곧 발표할 예정이다.

왕 총장은 ‘다양한 국가와 법률 체계에서 규칙 적용을 보장하고, 특히 판결 인정 및 집행에 충분한 보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