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스포츠스타 취안훙찬을 괴롭히는 1인 미디어들에 중 매체들 "정도를 지켜라" 일침

 

중국에서 가장 핫한 스포츠 선수는 단연 취안훙찬(全红婵) 선수다. 올 해 17세로 소위 '다이빙 천재소녀'로 불리는 중국 수영 선수다.

 

지난 2021년 도쿄올림픽에서부터 올 2024년 파리올림픽까지 다이빙 여자 10m  종목에서 중국에 연속해 금메달을 선물했다. 올 파리올림픽에서는 다이빙 여자 싱크로나이즈드 10m 종목에서 금메달도 추가했다. 

 

지난 2014년 다이빙 코치에 발탁돼 중국을 대표하는 선수가 된 취안훙찬은 말 그대로 정말 흑수저다. 중국에서는 대표적인 농민의 딸이다. 

천부적인 재능과 뼈를 깎는 노력으로 오늘의 영광을 일궈낸 선수다.

 

보기 드문 성공에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스포츠 스타가 됐다. 

문제는 그래서 나왔다. 

많은 이들, 특히 1인 미디어들이 취안훙찬의 일거수일투족을 쫓아다니며, 소식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중추절도 마찬가지다. 고향인 광둥성 잔장(湛江)에는 취안훙찬을 쫓아온 1인 미디어들로 들끓었다.

이들은 취안훙찬 집 앞에 진을 치고 있거나, 취안훙찬을 쫓아 마을 곳곳을 카메라를 들고 돌아다녔다. 심지어 드론까지 활용해 취안훙찬의 모습을 찍어 내보냈다.

 

아예 여행사마저 ‘취안훙찬 고향 당일치기 투어’라는 상품을 내놓았으며, 마을은 일종의 ‘인증샷 명소’가 되어 마을 주민들도 큰 불편을 겪고 있는 상황이었다.

 

문제는 이런 풍경은 올해만 있었던 게 아니라는 점이다. 지난 몇년간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취안훙찬의 사생활이 보호 되지 않은 것은 물론, 가족과 마을 주민들까지 몰려든 1인 미디어들로 인해 피해를 보는 상황이다.

 

팬심도 있기는 하겠지만, 진짜 속내는 따로 있다. 적지 않은 이들이 취안훙찬의 유명세를 이용해 자신들의 트래픽을 올리려는 것이다. 

트래픽이 돈인 게 요즘 세태다. 이 트래픽을 위해 유명 선수는 트래픽을 구하는 좋은 소재일 뿐이다. 

 

이번에 중국 매체들이 이 같은 1인 미디어들의 행태를 비난하고 나섰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대부분의 구경꾼은 단지 인기를 얻기 위해, 또는 조회수를 올리기 위해 모인 사람들이었다.

 

중국 네티즌들은 "그들(1인 미디어들)이 좋아하는 것은 취안훙찬이 아니라, 취안훙찬과 연결된 SNS 친구 목록”이라고 평가했다. 취안훙찬의 팔로워들은 취안훙찬이 나오는 콘텐츠에는 무조건 반응을 하는 진짜 팬들이다. 1인 미디어들이 트래픽을 위해 진짜 팬들을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중국 미디어들은 "운동선수에 대한 관심은 좋은 일"이라면서도 "그 행위는 법과 사회적 규범을 준수해야 하며, 단순히 ‘조회수’를 위해 ‘경계’를 넘어서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극단적인 관심 행위는 개인 사생활을 침해하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중국 네티즌들도 "도대체 왜 그럴까"라며 이해를 못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