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저장성, 정부-대기업 손잡고 소상공인 지원하는 '상생의 달 프로젝트' 9월 시동

이번이 올 들어 세번째 지원

저장성이 가동한 지역 소상인들의 경기 불황 극복을 위해 정부가 주도하는 ‘대기업- 소상공인 상생 프로젝트’를 중국 당중앙이 주목하고 나섰다.

 

중국은 지방에서 정책을 실험한 뒤 우수한 정책은 다시 전국 단위로 시행된다.

이번 저장성의 소상공인 지원정책 역시 전국 단위 정책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1일 중국 당기관지인 런민르바오에 따르면 저장성 시장 감독국과 17개 성 부서는 지난 3일 공동으로 '자영업자 서비스 달'과 '대기업 소상공인 지원의 달'을 시작했다. 저장성이 소상공인 지원에 나선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이번 저장성의 프로모션은 지방정부가 대기업과 지역 소상공인을 묶어 대기업이 소상공인들의 매출 지원에 나서게 하고, 지방정부는 그 대가로 각종 세제 지원을 하는 것이다.

앞서 진행된 2번의 프로젝트 시행에서 나름의 성과를 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런민르바오는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은 산업의 모세혈관으로 시장경제 산업 생태계의 최말단 신경세포”라며 이번 저장성의 소상공인 지원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런민르바오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 기간 저장성 정부는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특별 조치 계획’도 시행한다. 계획에 따르면 1단계로 130개 '대기업'과 총 8,395개 소상공인들의 점포가 결연해 상생지원에 나선다.

 

저장성 정부는 오는 2027년 말까지 총 1,000개의 대기업을 유치해 총 ​​10만개 소상공인 점포와 결연을 맺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성 정부는 대기업의 소상공인 지원 횟수가 10만회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저장성에는 지난 8월말 현재 692만 소상공인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이는 저장성 전체 사업체의 3분의 2 가량에 해당한다. 고용인원만 대략 1,400만 명에 달한다.

 

저장성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 소상공인의 산업별 분류 및 적절한 대기업과의 결연 지원을 촉진하고, 이를 위해 심층 방문 및 조사, 정책 홍보 증대, 종합 서비스 플랫폼 구축, 홍보 및 훈련 조직 구축 등에 나선다.

 

앞서 이뤄진 두 번의 프로젝트를 통해 현재 저장성 11개 도시의 130개 '대기업'이 8,395개의 소상공인 사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여기에는 도소매 산업, 제조, 숙박 및 요식업, 임대 및 상업 서비스 산업 등이 두루 포함돼 있다.

 

저장성 성정부와 산하 지방정부들은 지역내 소상공인 사업체 지원에 나선 대기업들을 위해 각종 세제혜택을 마련하고 있다. 항저우 시 시장 감독국 행정 승인부 국장 푸궈웨이는 "기업은 기술, 자본, 금융, 법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컨대 임대료 및 재산을 줄이거나 면제하는 등의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고 런민르바오는 전했다.

 

푸 국장은 “수수료는 개별 산업 및 상업 가구의 운영 비용을 줄이고 운영 부담을 덜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장성 회의에서는 기업 지원, 재정 지원, 매장 개설 지원, 미디어 등 여러 모듈을 다루는 프로그램이 공식 발표됐다.

 

저장성 당국은 소상공인 사업체 운영을 위한 다양한 가이드 북도 마련했다. 가이드북에는 창업 지원 안내에서 경영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리스크 등을 기업 생애주기로 정리한 내용이 담겼다.

저장성 당국은 레스토랑, 편의점, 담배 가게, 약국, 시장 운영업체 등 창업 빈도가 높은 업종에 대한 경영 가이드를 내놨다. 항저우는 ‘소상공인 지원 그룹’ 플랫폼도 구축하고 '기업 지원 그룹', '재정 지원 그룹' 및 '미디어 지원 그룹' 등의 리더도 선출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석탄도시로 유명했던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 경제 관광 도시로 변신에 성공해 중국에서 화제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문화

더보기
[영 베이징] '관광+ 문화' 융합 속에 베이징 곳곳이 반로환동 변신 1.
‘문화유적 속에 열리는 여름 팝음악 콘서트, 젊음이 넘치는 거리마다 즐비한 먹거리와 쇼핑 코너들’ 바로 베이징 시청취와 둥청취의 모습이다. 유적과 새로운 문화활동이 어울리면서 이 두 지역에는 새로운 상권이 형성됐다. 바로 관광과 문화 융합의 결과라는 게 베이징시 당국의 판단이다. 중국 매체들 역시 시의 놀라운 변화를 새롭게 조망하고 나섰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은 앞다퉈 두 지역을 찾아 르뽀를 쓰고 있다. “평일에도 베이징 시청구 중해 다지항과 동성구의 룽푸스(隆福寺) 상권은 많은 방문객을 불러모았다. 다지항의 문화재 보호와 재생, 룽푸스의 노포 브랜드 혁신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했다. 그뿐 아니라, 올여름 열풍을 일으킨 콘서트가 여러 지역의 문화·상업·관광 소비를 크게 끌어올렸다.” 베이징완바오 기사의 한 대목이다. 실제 중국 각 지역이 문화 관광 융합을 통해 ‘환골탈퇴’의 변신을 하고 있다. 베이징시 문화관광국 자원개발처장 장징은 올해 상반기 베이징에서 ‘공연+관광’의 파급 효과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형 공연은 102회 열렸고, 매출은 15억 위안(약 2,934억 6,000만 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