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가 시작되는 길 방배사이길

 

 

 


 


 

 


 

 

 

 

 

 

 

언제나 사람으로 북적이는 서래마을과 방배동 카페골목 사이에 두 인기 골목을 이어주는 작은 골목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방배사이길’이다. 서너 개의 공방이 자리했던 방배동 뒷골목이 오늘날 70여개의 공방과 갤러리, 카페와 레스토랑으로 채워졌다. 

 

 

‘방배사이길’이라는 이름은 이 골목이 방배로 42길에 위치하기 때문이지만, 또 다른 의미도 있다. 숫자 42와 발음이 같은 우리말 ‘사이’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관계’를 의미한다. 그 이름에서 이 골목의 매력을 찾아볼 수 있다. 이 골목의 매력은 ‘친절과 여유’이다. 가게와 공방을 지키는 사람이 곧 대표이자 창작자이기에 방문객과의 소통을 즐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가 시작되는 곳, 방배사이길이다.

 

 

 

  1. 뮤제드파팡(musee de parfum)

조향사 출신 대표가 운영하는 향수 공방이자 향수 박물관이다. 향의 소재와 계보를 돌아볼 수 있다. 다양한 향을 체험해볼 수 있고 자신에게 맞는 향을 상담할 수 있다. 사전에 예약하면 도슨트의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나만의 향수 만들기’ 수업은 늘 열리지만 반드시 예약해야 한다.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42길 19

+82-70-7517-2426

  1. 구례 우리밀 손칼국수

영어, 일어, 불어 등 외국어 간판이 가득한 골목에서 투박한 이 집의 간판은 눈에 띈다. 우리 밀을 사용한 칼국수를 맛볼 수 있다. 우리밀은 생산자와 직접 계약을 맺어 철저한 생산 및 품질 관리를 거쳐 입고된다. 진한 팥 향이 인상적인 팥칼국수와 된장을 사용하여 색다른 보리밥도 별미이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42길 19

+82-2-599-7035

  1. SEGMENT&KIMMA(shopping)

방배사이길 입구에는 리빙 소품 숍 ‘세그먼트’와 플라워 숍 ‘키마’가 함께 있다. 여러 브랜드의 제품을 조금씩 들여놓는 여느 편집숍과는 다르게 세그먼트는 한 브랜드의 제품들을 집중적으로 다양하게 선보인다. 세그먼트의 한쪽에는 100년 전통의 스웨덴 브러쉬 브랜드 ‘이리스 한트베르크’의 제품이 가지런히 진열돼 있다. 그 벽면을 지나면 이곳의 또 다른 공간 ‘키마’가 연결된다. 키마는 잡지처럼 매달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정기적으로 꽃을 배송해주는 플라워 서브스크립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36길 7

+82-2-533-2012

  1. 월스타일(月.style)

‘월스타일’은 창고형 빈티지 숍이다. 대표가 외국을 오가다 모은 물건으로 1층과 2층, 정원까지 합쳐 120평 공간을 채웠다. 어수선한 듯한 분위기가 더욱 빈티지한 느낌을 준다. 수동 계산기, 커피 핸드밀, 빈티지 침대, 책상과 인형, 침구류 등 50~60년대 유럽과 미국산 물건들이 많다. 

서울 서초구 방배로42길 36-4 세진빌딩 101호

+82-70-8773-9999

  1. 42카페(café)

방배사이길의 ‘42’를 따서 이름 지은 카페이다. 공간은 작지만 감각적인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따뜻한 분위기에 아기자기한 소품들이 잘 배치되어 있다. 방배사이길 방문객은 물론 동네 주민들도 자주 찾는 카페이다. 커피나 음료에 주문하면 갓 구워 나오는 스콘을 곁들이면 골목의 분위기를 더욱 잘 느낄 수 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42길 23-4

+82-70-7856-4200

  1. 박수이 옻칠 그리고 커피

옻칠을 전공한 박수이 작가의 작업실 겸 카페다. 한 켠에 마련한 갤러리에서 다양한 옻칠작가들을 소개하며, 옻칠 제품들을 구경하고 살 수 있도록 꾸몄다. 전통 도료인 ‘옻’을 이용한 옻칠에 대해 차근차근 배울 수 있고, 다양한 소재와 디자인을 공부하는 교실도 운영한다. 

서울 서초구 방배로36길 19

+82-2-6402-5757 

  1. 갤러리 토스트(gallery)

2011년 개관한 갤러리 토스트는 ‘예술의 생활화’를 실천한다. 중견 작가와 신진 작가의 작품을 꾸준히 소개하며 방배 사이길만의 지역 문화를 주도하고 있다. 10월 14일(토)부터 10월 29일(일)까지는 물질주의에 관한 태도의 전환을 요구하는 <벌기위한 기도_김홍식 개인展>을 전시한다. 

서울 서초구 방배로42길 46 3층

+82-2-532-6460

  1. 리블랑제(bakery)

방배 사이길을 유명하게 만든 터줏대감이다. ‘리블랑제’의 빵은 인공 요소 없는 재료와 독특한 식감이 특징이다. 그야말로 ‘쫀득한’ 빵을 맛볼 수 있다. 2층으로 올라가면 당근케이크가 유명한 세시셀라 팩토리가 있다.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42길 46 1층

+82-2-532-6410 

  1. 강쉐프스토리(dinner)

담담한 일본 가정식부터 푸짐한 정식까지 다양한 메뉴와 코스가 준비되어 있어 오랜만에 친구들과 만나는 자리나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유명하다. 깔끔한 맛이 특징. 가쓰동과 해초복국은 이 집이 자랑하는 메뉴이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 234-6 

+82-2-595-5595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