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소비침체로 돼지고기 가격 최근 9개월간 41% 하락

 

중국에서 돼지고기 값이 연일 하락하고 있다.

올해 초 중국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이후에도 경기 부진으로 돼지고기 가격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돼지고기 값이 연일 치솟아 국가가 배급량을 정해 공급하는 조치까지 나오기도 했다. 

문제는 세계 최대 돼지고기 소비국인 중국에서 돼지고기 가격은 소비자 물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올해 들어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제자리걸음을 하는 데에도 돼지고기 가격 하락이 주요 원인이 됐다.

3일 중국 농업농촌부 발표에 따르면 중국 돼지고기 가격은 작년 10월 ㎏당 35.12위안(약 6300원)까지 오른 뒤 계속 하락해 지난 7월말 20.83위안(약 3700원)까지 떨어지며 9개월 만에 41% 급락했다.

중국에서 작년 가을 전후로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해 돼지고기 소비가 급감한 데다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에도 소비가 여전히 위축돼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중국 당국이 지난 4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 맞춰 프랑스산 돼지고기 수입을 허용해 유통 물량이 늘면서 돼지고기 가격 하락세가 심화했다.

중국 최대 양돈업체인 무위안식품의 경우 올해 상반기 손실액이 66억8400만 위안(약 1조 20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벌어들인 총이익 69억400만 위안(약 1조2500억 원)을 넘어선 금액이다.

한편 지속적인 돼지고기 가격 하락으로 경영난에 직면한 중국 양돈업체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인력 스카우트 금지 담합에 나섰다 당국의 경고를 받았다.

3일 중국 관영 통신 신화사에 따르면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시장총국)은 지난달 31일 4대 양돈업체를 웨탄(約談) 형식으로 불러 이들 업체들이 상대 업체의 인력을 스카우트하지 않기로 한 협약이 반독점법 위반 행위에 해당한다며 시정을 지시했다.

시장총국은 이들 업체의 협약이 공정한 경쟁을 해치고, 노동자들의 직업 선택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웨탄은 '예약 면담'의 의미로 당국이 기업이나 개인을 불러 잘못을 지적하고 시정토록 하거나 요구 사항을 전달하는 구두 경고 조치를 말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