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도움은 받기만큼 베풀기도 어렵다. 두 손으로 나눠받는 공(共)



 

함께한다는 건

나누는 것이다.

 

그냥 나눠주는 게

아니라

양 손으로 공손히

바치는 것이다.

 

함께한다는 건

받는 것이다.

 

그냥 받는 게

아니라

양 손으로 공손히

받아 드는 것이다.

 

그런 자세로

주고받을 때

우린 함께하는 것이다.

 

한 손을 내민 것을

두 손으로 받고

두 손을 내민 것을

한 손으로 받으면

 

최소한 ‘대등한 함께’가

아니다.

한 손으로 주고받는 것

역시 ‘존중받는 함께’가

아니다.

 

주는 것도

받는 것도

같이 두 손으로

공손히

그 게 바로

‘대등한 함께’다.

갑골자의 시대부터

이어진 ‘함께’의 정신이다.

 

갑골자의 함께할 공(共)이

전하는 정신이다.

 

갑골자에 공은

두 손으로 공손히

뭔가를 전하는 것이다.

 

또 다른 면에서

두 손으로 공손히

뭔가를 받아든 것이다.

 

함께하는 것은

공손히

뭔가를 주거나

뭔가를 받는 것이다.

 

공손히 받는 만큼

주는 것도 공손한 게

바로 ‘함께할’ 공이다.

 

준다는 게

받는만큼

어렵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제일 바보가

베풀고 욕을 먹는 이다.

 

간단히

한 손으로 줬기 때문이다.

받기는

했지만 마음이 불편한 탓이다.

 

두 손으로 함께하는 마음이

바로

공손할 공(恭)이다.

공(共) 아래

마음 심(心)이 있다.

 

바로

삼가는 마음이다.

예(禮)의 시작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