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안타까운 팀 대전시티즌

 

  

 “안타깝다. 2017년 대전시티즌의 경기를 본 팬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다. 잇따라 경기마다 패하면서 9월 현재 감독이 전격 사퇴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K-리그 챌린지에서도 꼴찌다.

 대전시티즌은 이 처참한 부진의 늪을 벗어날 수 있을까? 기회는 아직 있다. 그러나 가능성이 커 보이지 않는다.

대전시티즌은 대전을 연고지로 하는 K리그의 프로축구단이다. 1996 10 ()대전프로축구단이 창설되고, 1997 3월 대전 시티즌 프로축구단이 창단되었다. 대전월드컵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공식 응원단인 퍼플크루가 있다.

 처녀 출전한 1997년의 전적은 라피도컵 정규리그 대회 7, 아디다스컵 대회 8, 프로스펙스컵 대회 B 5위에 머물렀지만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하였다. 1998년에는 K-리그에서 9, 필립모리스컵 6, 아디다스컵에서는 A 4위에 머물렀다. 1999년에는 K-리그에서 8, 대한화재컵 A 4, 아디다스컵에서는 1회전에 탈락하는 등 신생팀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2000년에 K-리그에서 8위를 했으며 2001년에는 K-리그 10, FA컵 우승을 차지했다. 2002년에는 K-리그 10, FA 4강에, 2003년에는 K-리그 6, FA 8강에 올랐다. 2004년에 K-리그 통합 11, FA컵 준우승, 2005년에 K-리그 통합 7, FA 10위를 했다. 2006년에는 K-리그 전기 3, 후기 12, FA 4위를 기록하였고, 2007년에는 K-리그 6, FA 12위를 기록하였다. 2008년에는 K-리그 13, FA 8위에 그쳤으며, 2009년에는 K-리그 9, FA 9위를 기록하였다.

 

 2010년에는 K-리그 13, FA 9위에, 2011년에는 K-리그 15, FA 9위에 그쳤으며, 2012년에는 K-리그 13위를 기록하였다. 2013년에는 K-리그 클래식 14위에 그쳐, 2부 리그인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다. 2014년에는 챌린지 리그에서 우승하여 클래식 리그로 승격되었으나, 2015년에 클래식 리그 4 7 27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여 다시 챌린지 리그로 강등되었다. 그 뒤에도 부진한 성적을 이어가고 있다.

 

글 = 청로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