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장궈룽 20주기 맞아 홍콩에서 다양한 추모 행사 개최

 

홍콩이 낳은 세계적인 배우이자 가수 장궈룽(장국영·1956∼2003)의 20주기를 맞아 다양한 추모 행사가 마련된다.

홍콩 당국이 '위드 코로나' 전환에 맞춰 관광객 유치에 적극 나선 상황에서 장궈룽의 20주기(4월 1일)을 맞아 홍콩 전역에서 '레슬리 청(장궈룽의 영어 이름)'을 추모하는 전시회와 음악회, 토크쇼, 영화 상영회 등이 선보이고 있다.

홍콩 샤틴의 홍콩문화박물관은 오는 10월 9일까지 장궈룽의 무대 의상과 사진, 앨범, 상패, 영상과 음악을 한자리에 모은 '레슬리, 당신이 너무 그리워'(Miss You Much Leslie) 전시회를 연다.

'천녀유혼', '영웅본색', '아비정전', '해피투게더', '패왕별희', '성월동화', '금지옥엽', '연지구', '동사서독' 등 숱한 히트작을 남긴 장궈룽의 20∼30대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유동인구가 많은 카오룽의 대형 쇼핑몰 '올림피안시티' 중앙홀에는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는 레슬리와의 만남' 전시 공간이 마련됐다.

다음 달 2일까지 이어지는 이 전시에서는 430인치 대형 TV를 통해 장궈룽의 생전 콘서트, 시상식 수상 모습 등이 상영되고, 자동 연주되는 그랜드 피아노가 그의 히트곡들을 들려준다.

또 장궈룽의 대형 사진이 세워져 '포토존' 역할을 하는 가운데 사진과 앨범, 인터뷰 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다. 31일에는 이곳에서 장궈룽의 지인들이 팬들과 함께 고인을 회고하는 토크쇼가 열린다.

한편 장궈룽의 팬들은 기일인 4월 1일 그가 마지막으로 머물렀던 센트럴의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앞에 집결할 전망이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고는 매년 그의 기일이면 해당 호텔 앞은 그를 추모하는 꽃밭으로 바뀌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