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이치(理致)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

다듬고 이르는 게 바로 이치다.

 

이치(理致)란 바로 돌 속의 옥이다.

 

사물의 이치란

그 사물이

다듬어 이르는 것이다.

 

이치란 본래

의리정치(義理情致)의 줄임말이다.

주어인

의(義)와

정(情)을 빼고 줄여

이치(理致)라 했다.

 

말 그대로

“의(義)를 다듬어,

정(情)이 이른다.”

는 뜻이다.

 

요즘 줄여서

도리(道理), 순리(順理) 등의 뜻으로 쓰인다.

 

그런데

도리는 무엇이고,

순리는 무엇인가?

 

도리는

그러한 것이고,

순리란

그러는 것이다.

 

결국 돌고 돌아

다시

그 거다.

그냥 그대로

바로 자연이다.

 

모두가

자연을 따르자는,

순기자연(顺其自然) 의 도리,

이치의 다른 표현일 뿐이다.

 

항상 그런 것의 이치다.

정확히

그렇고 그런 것들을

하나로 꿰는 보물,

일이관지(一以貫之)다.

 

한자 리(理)에 담긴 뜻이다.

금문에서 등장하는

리(理)는

옥(玉)을 꿴 보물과

옆의 리(里)다.

 

설문해자는

옥이 뜻(意)이요, 리는 음(音)이라 했다.

 

 

리(里) 역시

금문에 나온다.

 

땅을 다듬어

밭을 만드는 모양이다.

 

 

리(理)의 구성 자형을

모두 뜻으로 읽으면

땅을 다듬어

밭을 만들어

옥, 보물을 얻어낸 것이다.

 

본래 옥은

돌 속에서

자라난다.

 

깎아 다듬지 않은

옥의 외형은

그저 돌,

강바닥에 널린

조각돌이다.

 

돌 속에 자란 옥을

다듬어 꺼낼 때

그제야 비로소

가치가 빛나는 것이다.

 

물론 옥은

돌 속에 있다고

옥이 아닌 게

아니다.

돌 속에 있어도

옥은 여전히

옥이다.

 

다만 인간이

꺼내어 보기 전에

그 가치를

보지 못할 뿐이다.

세상의 이치가

마치

돌 속에 옥과 같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