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진핑, 신중국 최초 3연임 국가주석으로 선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신중국) 건국 이후 첫 3연임 국가주석이 됐다. 마오쩌둥(毛澤東, 1893∼1976) 이후 중국 공산당 역사상 처음으로 '1인 장기 집권 체제'를 완성했다.

시 주석의 충신 리창은 중국 서열 2위인 국무원 총리가 됐다. 서구 언론매체들은 "이제 중국은 시진핑 1인 천하"라고 평했다.

1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14기 1차 회의 제3차 전체회의에서 이뤄진 국가주석 선거(단일후보)에서 유효표 2952표 만장일치 찬성으로 선출됐다. 이어진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선거에서도 역시 만장일치로 선출됐다.

시 주석은 지난해 10월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중국 권력의 정점인 당 총서기와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선출되며 집권 3기를 시작했다. 이번에 임기 5년의 국가주석에 3회 연속 선출됨으로써 당, 국가, 군에 걸친 명실상부한 최고지도자 재임기간을 총 15년으로 연장했다.

시 주석은 2012년 제18차 당 대회에서 최고 지도자 자리(당 총서기 및 당 중앙군사위 주석)에 오른 후 이듬해 전인대에서 처음 국가주석으로 선출됐고, 2018년 재선에 성공했다.

중국 헌법상 국가주석은 법률 공포, 국무원 총리·부총리·국무위원·각 정부 부처 부장과 각 위원회 주임 임면, 훈장 수여, 특별사면, 긴급사태 및 전쟁 선포, 동원령 공포, 대사 파견·소환, 조약 비준·파기 등을 전인대와 전인대 상무위원회 결정에 입각해 실행한다.

중국 헌법상 직책이 아닌 '국가기구'로 규정돼 있으며, 대외적으로 중국을 대표하는 국가원수라고 할 수 있다. 국무원 총리를 비롯한 다른 국가 고위직과 마찬가지로 연임까지만 할 수 있었으나 2018년 헌법 개정을 통해 3연임 제한 규정이 사라졌다. 

시 주석 이전 역대 국가주석(주석 대리·명예주석 등 제외)은 마오쩌둥, 류샤오치, 리셴녠, 양상쿤, 장쩌민, 후진타오 등 6명이다.

한편 이날 국회의장격인 전인대 상무위원장은 자오러지, 국가부주석은 '상하이방(上海幇·상하이 출신 정·재계 인맥)' 출신 한정이 각각 선출됐다.

또 전인대 상무위 부위원장에는 리훙중, 왕둥밍, 샤오제, 정젠방, 딩중리, 하오밍진, 차이다펑, 허웨이, 우웨이화, 톄닝, 펑칭화, 장칭웨이, 뤄상장춘(티베트족), 쉐커라이티 짜커얼(위구르족) 등 14명이, 전인대 상무위 비서장(사무총장)에는 류치가 각각 당선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