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삼성전자 갤럭시 S23 시리즈 마케팅에 중국 게임 '원신' 활용

 

삼성전자가 갤럭시 S23 마케팅의 일환으로 중국 게임업체와 손을 잡았다.

삼성전자가 중국 게임업체와 연합으로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갤럭시 S23 시리즈는 역대급 줌 기능 등으로 시장의 관심을 모으는 상황이다. 지금까지의 삼성전자 스마트폰 기술의 최대 집합체라는 평도 듣고 있다. 

20일 IT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신제품 갤럭시 S23 시리즈의 모바일 게임 성능 홍보를 위해 매장에 전시한 S23에  중국 호요버스의 RPG(Role-playing Game) '원신'을 탑재했다.

삼성전자가 S23 마케팅에 원신을 활용하는 것은, 이전 세대 기기인 갤럭시 S22 출시 당시 불거진 GOS(Game Optimizing Service, 게임 최적화 서비스) 논란으로 등을 돌린 게이머들을 공략해 이미지를 반전시키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GOS는 고성능 연산이 필요한 게임을 실행할 경우 GPU(그래픽처리장치) 성능을 조절해 화면 해상도를 낮추는 등 성능을 인위적으로 낮추고 연산 부담을 줄여 스마트폰 과열을 막는 기능이다.

여러 국내외 유튜버와 IT 매체들은 S22 출시 당시 게임 성능 측정 검증에 나섰는데, 이때 다른 기기와의 성능 비교 척도로 자주 사용된 게임이 바로 원신이었다.

'원신'은 2020년 출시 이후 전 세계에서 4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내면서 아시아권은 물론 북미·유럽 시장에서도 흥행했다. 모바일 기반으로 제작된 게임임에도 PC·콘솔 게임 수준의 화려한 그래픽을 보여줘 기기 성능 테스트용으로 많이 활용된다.

한편 삼성은 지난해에도 호요버스와의 협업을 통해 '원신'의 인기 캐릭터를 소재로 만든 한정판 제품인 '갤럭시 Z 폴드4 원신 스페셜 에디션'·'갤럭시 버즈 2 프로 원신 스페셜 에디션' 2종을 선보인 바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