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견성일성(犬聲一聲) "멍, 이제 한자 교육 좀 하시쥬!"

 

멍이유, 독고유, 잘 지냈쥬?

요즘 참 세상 거시기 허쥬? 살기 참 팍팍하유. 어디 서민만 그러겄슈? 중국 시진핑 주석도 마찬가질거유.

다른 건 몰러두, 코로나 팬데믹 관련해서 말이쥬.

 

이게 풀어둬 문제, 묶어도 문제유.

말 그대로 이러지도, 저러지 못하는 ‘진퇴양난’이유. 진퇴양난 아시쥬?

요즘 한국 한자 실력이 워낙 떨어져서 그려유. 어찌 개만도 못하남유.

이런 한국에서 무슨 중국 이야길 하겄슈? 지들 무식한 줄 모르는데, 낫 놓고 기억자도 모르는 이에게 낫에 대해 설명한 꼴이유.

무슨 이야긴지 아직도 모르겄슈?

아이고 한국이 자랑하는 세계 수준급 공항이라는 인천공항이야기유.

 

한국 언론들도 보도를 많이 했는데, 사진은 보셨쥬?

혹 모른께 다시 보여드리쥬.

 

 

중국인 상대로 한 안내문이여유. 글쎄 놈 자(者)와 아들 자(子)를 구분 못혀서 '중국발 항공편으로 입국한 사람'이라고 안허고 '중국발 항공편으로 입국한 새끼(?)'라 한거유.

'중국발 항공편으로 입국한 아들'이 바로 '새끼'지 뭐유.

공항에서 공식문서로 욕을 했으니, 장하다 할까유? 그럼 동방예의지국이란 말을 무슨 낯으로 혀유. 낯 뜨겁꼬럼.

아이고 동방예의지국이 뭔 뜻인지는 알쥬? 동방에서 예의 바른 나라, 바로 한국을 칭찬한 말이유. 그런 동방예의지국이 공항에서 대놓고 욕을 했느니, 무슨 챙피유.

음 몰라서 그렇다구유? 그럼 무식해서 문제유.

그동안 입국자(入國者)의 뜻도 모르고 사용했다는 것 아니거슈? 자기네 나라말을 뜻도 모르고 썼다니, 거 무슨 챙피유.

아이고 혹 내가 챙피, 챙피 하니, 챙피가 무슨 뜻인지는 아는지 모르겄유.

챙피는 사투리고, 본래 창피유.

창피도 한자가 있슈. 창피(猖披)는 사전에서 부끄럽다는 뜻이유. 이거 창피가 한자어인 줄 모르진 않았겄쥬?

 

한국의 유명한 자동차 회사 이야기도 있어유.

자동차 전장산업이라는 단어를 영어 번역 시켰더니, 전장을 'battleground', 전쟁터라 한거유. 전장산업을 그리 번역하면 말이 안된다는 걸 아는지 모르는지, 쩝.

여기서 전장은 전자장비를 말혀쥬. 전기의 전(電)에 장비의 장(裝)을 말하지유.

 

한 언론기사가 세상의 무식을 드러낸 적이 있지유.

‘무운을 빈다’고 했더니, 어찌 무운을 비냐고 문제를 삼았지유. 무운을 없을 무(無)에 행운의 운(運)이라고 본거지유.

하지만 곧 이게 얼마나 무식한 지적인지 스스로 깨닫게 됐쥬. 여기서 무운은 무력의 무(武)와 행운의 운(運)으로 전쟁에서 이기고 돌아오라는 뜻이유.

 

다시 들어봐도 챙피하쥬? 사실 중국과 한국의 많은 갈등은 한국에서 쓰는 한자 용법과 중국에서 쓰는 한자 용법이 다른 경우도 많아유.

특히 외교 용어에서 이 같은 차이가 있어, 서로 오해를 낳기도 해유.

 

대표적인 사례가 전면적(全面的) 동반자 관계와 전략적(戰略的) 동반자 관계여유. 한국식 표현으로는 전략적보다 전면적 동반자 관계가 더 높은 친밀도가 있쥬. 하지만 중국은 반대여유. 중국에서 말하는 전면적은 한국식으로는 ‘포괄적’이라는 한자어가 더 맞아유.

그런 차이를 모르고 중국을 대하면 오해가 생기쥬. 중국이 한국을 알아쥬면 좋쥬. 하지만 한자를 본래 생활에서 쓰는 중국 역시 한국의 한자 쓰임이 차이가 있다는 걸 알기는 쉽지 않쥬.

더구나 한국인들이 한자에 무식하다는 걸 알기는 더 어렵지유. 자꾸 이런 오해가 쌓이면 감정이 생기는거유.

중국도 한국도 서로를 경원시 하게 되는 거유. 요즘 그 증세가 심해지고 있지유.

 

멍!

이제는 말이유. 중국도 한국도 그런 차이를 알아야 해유. 솔직히 한국이 한자 공부를 좀 더 했으면 해유.

멍, 독고의 솔직한 고백이유. 지 만큼만 하셔유.

독고였시유. 다음에는 시진핑 주석의 진퇴양난에 대해 이야기 해드릴께유.

 

 

*이 코너는 미국에서 태어나 중국에 입양된 도그 드 보르도(Dogue de Bordeaux) 애완견 ‘독고’의 종횡무진 취재기로 인간을 향한 ‘견성(犬聲) 일성’을 담았습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