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교육부 직속 대학 Top 5, 1위 베이징대

 

'배우고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

누가 말했던가. 바로 공자다. 유교가 중국을 비롯해 동아시아 정신세계를 지배한 이래 이 말은 유교의 훈도를 입은 이들의 역사 면면히 이어지는 삶의 지표가 됐다.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의 뜨거운 교육열의 근원이다.

이들 국가에서는 자식을 낳아 가르치는 데 거의 모든 가족의 자산을 소비한다. 그렇게 성장한 이들은 다시 가족을 일으키고, 나라를 일으킨다.

다시 쌓인 가족의 자산은 자식의 교육을 위해 소비된다. 

한국이 그렇고 중국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아이가 태어나 지역의 우수한 학교에 입학하고, 다시 우수한 고등교육기관, 대학에 입학하는 게 가족의 유일한 목표다.

물론 이에 따른 문제도 많다. 사회적 자원 낭비가 적지 않다. 대부분의 자산이 교육에 쏠리지만, 그것은 생의 행복을 위한 교육보다는 사회적 경쟁력을 기르는 교육에 집중된다. 

자녀의 부담도 적지 않다. 온 가족의 기대를 한 몸에 안고 살면서 기대에 부응하려 노력하지만, 어린 마음에 쉽지는 않다. 

순위를 세우다 보니, 1등 한 명만 행복하고 나머지 99명은 불행해진다. 한국 사회의 행복도가 그 증거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을 비롯해 중국의 대부분 가정이 자식을 명문대에 보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 땅에 유교가 뿌리내린 이래 역사에서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중국 교육부 직속 대학교 순위가 발표됐다. Top 5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대(北京大学)

2위 칭화대(清华大学)

3위 상하이교통대(上海交通大学)

4위 저장대(浙江大学)

5위 화중과기대(华中科技大学)

 

중국 교육부 직속 대학교는 총 76곳이다. 그 중 베이징대 1위를, 칭화대가 2위를 차지했다. 베이징대와 칭화대는 중국에서 가장 많은 학생들의 목표 대학이다. 칭화대는 이공계 인재 양성에 목표를 둔다는 점이 베이징대와 다르다.

3위에 이름을 올린 상하이교통대는 교육부 직속 대학교임과 동시에 상하이시와 함께 건설한 전국 중점 대학교이다. 중국 대학교 교육 평가 기구인 루안커(软科) 순위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상하이교통대는 특히 임상의학학과 및 구강의학학과 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