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나이 8살의 아이돌 그룹. 정말 평범하지 않은 모습인 데 이 그룹이 출범 5일만에 해체됐다면? 역시 참 우습다 싶은 현상이다. 중국 이야기다. 중국에서 '천부소년단'(天府少年团)이란 소년 그룹이 출범해 화제를 모았다. 그룹 소속원들의 평균 나이가 8살이다. 소년단? 방탄소년단의 아류 냄새가 난다. 더 화제가 된 것은 이 천부소년단이 출범 5일만에 해체했다는 소식이다. 25일 펑파이(澎湃) 등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천부소년단의 소속사는 전날 밤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 그룹 해체 소식을 알렸다. 탄생을 알리자 종말을 고한 것이다. 너무 어린 소년들의 등장에 중국 현지에서 아동착취라는 비판까지 나온 것이 해체의 주요 원인이다. 사실 8살 어린 소년들이 연예계에 데뷔해서 인기를 판다는 게 지나치게 상업적이다. 역시 '비단 장수 왕서방'의 나라다 싶다. 중국의 상인들은 돈만 안다. 역사가 보여주는 사실이다. 최근 중국 연예계에 이 같은 상인들이 늘고 있다. 중국 연예계가 돈이 되기 때문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문화상품 시장이다. 영화 한 편이 성공하면 수십억 위안의 수익이 생긴다. 아무리 안팔리는 책도 중국에서 출판한 뒤 조금만 광고를 하면 1만부는 팔
음식 배달은 한국이 원조같다. 본래 중국에서는 음식을 배달시키는 문화가 없었지만, 현지 한국 교민 사회에서 배달이 성행하면서 지금 중국, 특히 베이징 등 대도시에서는 음식을 배달시키는 게 일상화됐다. 특히 IT화에서는 중국이 결코 한국에 뒤지지 않았다. 한국에서 배달의 민족이 뜨기 시작한 즈음에 중국에서도 각종 배달앱이 쏟아져 나왔다. 한국에는 단연코 '배달의 민족'이 1위 앱이다. 최근 쿠팡이 빠르게 뒤를 쫓고 있지만, 아직은 배달의 민족이 앞선 듯 싶다. 한국은 시장이 작아서 1위 앱이외에는 성공이 힘들다. 2위는 살아는 남을 지 몰라도 큰 유니콘으로 성장하기 힘들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는 다르다. 시장이 넓은 만큼 각지역마다 특색 있는 앱이 출시돼 발전하고 있다. 중국의 배달 앱 순위를 알아봤다. 2021 중국 배달 어플 순위 top 5 1.메이탄와이마이美团外卖 톈진 싼콰이(三快)에서 과학기술 유한회사로 개발된 테이크아웃 앱으로, 과일·채소·케이크든 각종 음식을 어플에서 찾을 수 있으며, 각종 맛집도 있다. 2.어러마饿了么 우 양질의 중국 배달앱이다. 이 앱은 상해 라자스정보과학기술유한공사가 개발한 것이다. 이 앱은 업계의 디지털화 업그레이드를 촉진했다
"일본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처음으로 2만 명을 넘었다. 수도 도쿄도에서도 이날 5000명이 넘는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최근 한국에도 전해진 일본 소식이다. 일본은 패럴림픽이 24일부터 진행중이다. 참 격세지감이 있는 소식이다. 불과 10년전만해도 일본은 최고의 방역 모범국이었다. 모든 것이 메뉴얼에 따라 실행된다고 해 '메뉴얼 국가'라고도 불렸다. 그런 일본이 갈수록 퇴색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국운이 그만큼 기울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여전히 아시아 제일의 경제대국이다. 경제 규모에서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줬지만 1인당 소득부터 각종 경제 분야에서 일본은 여전히 1위다. 즉 일본을 아직 쉽게 봐서는 안되는 의미다. 중국도 이런 점에서 일본을 대접하고 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일본과 중국을 우습게 이야기하는 나라가 한국이라는 평이 있다. 이 평은 결코 칭찬이 아니다. 한국의 분석 능력이 그만큼 떨어진다는 질책이다. 일본 전국에서 집계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3일 처음으로 2만 명을 넘었다. 전날 일본에서는 신규 확진자 1만8889명이 파악돼 최다 기록을 세웠다. 도쿄도에서는 이날 확진자 5773명이 새로 보고
'2조4148억 9100만 위안' 대략 433조 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중국은 바이오 굴기에도 성공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하는 수치다. 중국 상위 30위 이상의 바이오 기업 매출액이다. 최근 중국 매체들은 지난 2020년 중국 전역의 의약품 지역 매출 총액을 근거로 '2020년 의약품 지역 매출 TOP31'을 선정했다. 이들 기업의 매출액을 합산하니, 연 매출이 2조4148억 9100만 위안에 달했다. 품목별로는 양약류가 매출 7대 의약품 매출의 71.5%를 차지했으며 이어 한약재류 2.3% 등이 있다. 한해 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각 성별 바이오 기업의 매출은 안정적 상승세를 구현했다. 지난 2020년 전국 6대 권역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화동 36.1%, 중남 27.0%, 화북 15.2%, 서남 13.3%, 동북 4.4%, 서북 4.0% 등이었다. 이 중 화동 중남 화북 3개 권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78.3%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2020년 전국 9개 성·시가 연매출 1000억 위안을 넘었다. 특히 광동은 2000억 위안을 넘는 매출로 전국을 선도했다. 베이징의 연간 매출도 다른 각 성·시를 크게 앞서 2위를 차지했다.
앞서 여러번 보도를 했지만 중국에서 자녀정책은 참 사연이 많은 정책이다. 지난 1978년 도입돼 수많은 가정에 아픔을 남겼다. 허락되지 않은 이들, 특히 농촌에서는 아이를 한 아이 이상 낳지 못하도록 강제한 정책이다. 본래 도시보다 시골에서는 아이를 낳고도 호적에 등록하지 못해 사생아처럼 키워야 하기도 했다. 본래 도시 교육을 받은 이들보다 시골에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농민들이 피임에 무지한 법이다. 한 때 한자녀 정책에 따른 사연 없는 농촌 가정이 없다는 소리까지 나왔다. 그러던 것이 2016년 ‘두 자녀 정책’을 전면 시행으로 바뀌더니, 이제 세자녀이상 낳도록 하는 정책이 시행되는 것이다. 중국의 국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는 최근 관련 법안을 통과시켰다. 개정법은 부부가 자녀 셋을 낳을 수 있도록 규정하는 한편 재정, 세금, 보험, 교육, 주택, 고용 관련 지원 조치를 정부가 채택하도록 했다. 참 격세지감을 느끼도록 하는 법안이다. 무엇보다 수십년 유지됐던 한자녀 정책에 비해 출생 독려 정책은 불과 수년새 계속 업그레이드 되면서 새롭게 출시되고 있다. 마치 둑이 무너저 물길이 쏟아지듯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번 법안에는 특정 지역서 부모 육아휴가 제도를
세계 1위? 중국의 글로벌 방역 순위가 세계 1위라는 평가가 나왔다. 다른 곳이 아니라 중국 내부에서다. 좀 믿기 힘든 평가다. 그동안 미국의 블룸버그 등이 각국의 방역 대응과 감염 실태를 비교 분석해 각국 순위를 매기는 기획 기사를 발표해왔다. 지난 7월 28일 발표된 블룸버그 순위에 따르면 6월 한 때 1위를 차지했던 미국은 7월 들어 5위로 떨어졌고 노르웨이가 1위로 뛰어올랐다. 중국은 9위에 그쳤다. 당시 중국 당국은 "중국이 미국보다 아래라는 것을 믿을 수 없다"며 반발했다. 그리고 이번에 중국 내부 매체가 글로벌 순위를 발표했다. 톈목신원은 13일 '글로벌 코로나 방역 순위'를 발표했다. 3대 척도로 설정된 역학지수, 백신지수, 사회경제지수는 총 12개 평가지표를 종합해 주요 경제국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평가했다고 신문은 밝혔다. 기사에 따르면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 높은 수준의 방역 능력과 질 높은 경기 회복력을 보였다는 게 신문의 평가였다. 이번 평가는 크게 역학지수, 백신지수, 사회경제 지수 등으로 나뉘어 이뤄졌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방역 수준을 나타내는 '역학지수'는 평가 지표로 인구 10만 명당 확진자 수, 사망자 수, 최근 한
중국 베이징은 마천루의 도시다. 대국 중국의 수도답게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독특한 외관의 고층건물들이 베이징 도심을 장악하고 있다. 중국은 과거 황제들이 수도에 천하를 작게 만들어 모두 담기도록 하는 조치를 하곤 했다. 예컨대 과거 베이징의 곳곳의 이름은 천하 곳곳의 도시 이름이었다. 황제가 사는 곳에 천하의 유명한 도시들을 축소시켜 황제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도록 하겠다는 의지의 발현이었다. 지금도 베이징의 마천루를 보다보면 과거 황제 시절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세계의 높고 좋은 빌딩들을 가득 가져다 놓겠다는 의도가 엿보이는 것이다. 이런 베이징에서도 손에 꼽는 마천루들이 있다. 1위: 중궈존中国尊 높이가 528m로 세계 9위이기도 하다. 2013년 7월 지어진 마천루로 베이징 핵심부에 자리 잡은 이 건물은 CCTV, 궈마오, 징광센터 등의 랜드마크들을 잇는 베이징 최고층 건물로 '중국 당대 10대 건축물'로 불린다. 중국 전통 예기인 '尊'에서 영감을 받아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는 뜻을 얻었다. 아래에서 위로 곡선을 그리며 수렴하면서 상단을 조금씩 넓혀 쌍곡선 모양을 만들어 전체적으로 점잖고 우아한 자태를 자랑한다. 세계 9위, 중국 5위, 베
중국 당국은 매년 7월이면 주요 기술자들을 선정 포상을 한다. 올해는 과학기술 분야 인물들이 대거 선발됐다. 미중 간 기술 우위 경쟁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중국에서 과학기술 연구자들에 대한 우대조치가 강화하는 모양새다. 특히 최근 베이징시 당위원회 선전부, 베이징 과학 기술 협회, 베이징 과학 기술위원회, 중관촌 관리위원회, 베이징시 경제 정보화국은 공동으로 2021 베이징 "가장 아름다운 과학 기술 인력 학습 및 홍보 활동“을 시작했다. 여러 단계의 추천, 자격 심사, 전문가 선정 및 기타 절차를 거쳐 2021년 베이징에서 "가장 아름다운 과학 기술 노동자"로 선출되었다. 다음은 선발된 주요 과학자의 순위다. 1. 좡원잉 庄文颖 여성으로 중국 과학원 미생물 연구소 연구원이자 중국 과학원 회원이다. 2. 리자양 李家洋 남성으로 중국 과학원 유전 및 발달생물학 연구소의 연구원이자 중국 과학원 회원이다. 3. 펑무근 彭木根 남성으로 베이징우전대학 정보 및 통신 공학대학 집행원장이자 교수이다. 4. 궈샤오후이 郭晓蕙 여성으로 북경대학교 제 1병원 주임의사이다. 5. 스야휘 师亚辉 남성으로 우주 대장정 로켓 기술 유한공사의 연구원이다.
미국이 철수하자, 아프가니스탄은 즉시 무장 게릴라인 탈레반 손에 떨어졌다. 탈레반 현지의 소식에 글로벌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미국은 물론 세계 각국은 이후 아프가니스탄과의 관계 설정을 놓고 고민에 빠진 상태다. 미국에 대한 비난의 강도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이 너무 쉽게 아프가니스탄을 포기했다는 것이다. 물론 미국도 할 말은 있다. "국익이 없는 전쟁에 미국인을 더 이상 희생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사실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건 성경의 구절이면서 서구의 근본 사상이다. 이 점에서 아프가니스탄은 철저히 서구를 실망시켰다. 부패한 정부는 미국이 지원한 무기마저 탈레반에게 팔아먹으며 사리사욕을 챙겼다. 이미 나라가 망하기도 전에 탈레반 전 지도부는 망명을 해 정권 붕괴를 자초했다는 평까지 나온다. 수억 달러의 나랏돈을 뒤로 챙겨 달아났다는 소식도 전해진다. 망명 정권의 지도자들은 현재 이 같은 사실을 부인하고 있지만 누구도 믿지 않는 상황이다. 정권이 나라를 포기하면 어떤 말로가 되는지 보여주는 실례다. 세계 곳곳에는 과거 탈레반 정권의 자금이 지금도 존재하고 있다. 현금화 해서 도주하지 못한 각국이 보존하고 있는 이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공식 자금
최근 중국과 일본의 육상 스포츠는 괄목할 성장을 해 주목된다. 오랜 투자 덕이라는 게 스포츠계의 평이다. 중국에서 눈에 띄는 선수는 당연히 류샹이다. 지난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동양인 선수 최초로 110m 허들에서 금메달을 땄다. 이어 2015년 베이징 세계선수권 4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다. 당시 기록은 37초 92로 아시아 신기록이었따. 이에 질세라 일본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 400m 계주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중국은 일본 바로 뒤인 4위였다. 기록은 37초90으로 나쁘지 않았다. 중국과 일본의 육상은 적극적인 선수 발굴과 투자 덕이다. 중국에서는 갈수록 육상 선수층이 두터워지고 있다. 육상은 전 스포츠의 기초다. 인간의 몸 모든 기능이 발현된다. 중국 육상을 이끄는 육상 선수 5인이다. 1.류샹 刘翔 200m 종목 20초 벽을 돌파한 세계 최초의 아시아인이자 남자 200m 아시아 기록 보유자다. 2. 쑤빙톈苏炳添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0㎞ 경보에서 우승해 올림픽 육상 금메달 제로(0) 돌파를 이뤘다. 3. 왕쥔샤王军霞 '동방신록(東方神鹿)'이라는 별명을 얻은 왕쥔샤(王军霞)는 중장거리 분야의 지배적인 주자로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