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메이블린의 중국 오프라인 매장 폐쇄에 中네티즌 "옛날 브랜드잖아"

 

젊은 층에게 인기인 미국의 화장품 브랜드 '메이블린'이 중국 사업을 대거 축소하고 나서 주목된다.

일단 중국 소비자들에게 메이블린이 중국 시장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듯 하다. 적지 않은 네티즌들이 메이블린의 조치를 탐탁치 않아 하고 있다. "좀 더 중국 시장 개척에 공을 들여야지 오히려 발을 빼?"하는 모습이다. 

일단 현상은 단순하다. 중국의 비아뉴스에 따르면 뷰티 브랜드 메이블린이 잇달아 중국 내 매장을 폐쇄하고 있다. 왓슨스를 제외한 모든 매장을 폐쇄한 후 온라인 매장에서만 운영할 계획이다.

사실 메이블린의 결정은 현재 중국 소비재 시장의 문제점에서 비롯됐다. 오프라인 매장은 그냥 전시공간으로 변하고 있는데 이 전시공간을 운영하는 비용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한국 브랜드들 역시 비슷한 경험을 했다. 한국 브랜들의 경우 시장 철수로 받아들여서 온라인에서도 그 위상의 대거 축소됐다.

메이블린은 과연 어떻게 될까? 

지금까지 현상으로 보면, 오프라인 시장을 버리고 온라인에만 주력하는 것은 이미 정해진 듯 싶다. 그럼 온라인 시장만으로 브랜드 파워을 유지할 수 있을까?

아직은 미지수다.

메이블린 고객센터는 "브랜드의 오프라인 매장을 지속해서 폐쇄하고 있지만, 모든 매장을 폐쇄할지는 불확실하다"며 "이후에 오프라인 매장은 왓슨스 내에서만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왓슨스 고객센터도 "앞으로 메이블린 제품은 메이블린 온라인 홈페이지나 왓슨스에서만 구입할 수 있으며, AS 문제가 발생할 시 전문 고객센터에서 처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자국 내 브랜드가 발전할 기회라며 메이블린의 매장 폐쇄 조치가 오히려 기회라고 보고 있다.

 

중요한 건 지금 메이블린을 사는 사람이 없다는 거야.

 

이 브랜드 진짜 오랜만에 들어보네.

 

옛날 브랜드잖아. 사본적도 없고, 기억도 안 나.

 

오프라인 매장이 다 죽어가는구나. 다 온라인 매장에 대체되었잖아.

 

서양 브랜드는 이제 끝났어. 중국 브랜드가 이 기회를 잘 잡아야 해.

 

중국 브랜드가 일어날 때야. 파이팅!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