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WE YOUNG》

        

난 언제까지나 영원한 친구가 될게

햇빛 아래로


So what We hot We young


걱정하지 마


So what We hot We young
오늘만큼은 Free



Hands up in the air


하늘은 무지개 빛 팝콘 구름도

uh uh We Young 

 

 

NCT dream 

We young

 

 소년들의 성장이 반갑다. SM의 막내 그룹 NCT dream이 여전히 청량감 넘치면서도 한층 성숙한  모습으로 대중 앞에 섰다.

 NCT dream은 8월 17일 첫 미니앨범 <We Young>을 공개했다. <We Young>은 총 6트랙으로 구성되어 NCT dream의 다양한 색깔을 느낄 수 있다. 타이틀 곡 ‘We Young’은 시원한 분위기의 업템포 트로피컬 하우스 장르이다. 가사에는 순수하고 풋풋한 사랑의 감정을 담았다. 풋풋한 느낌의 가사, 청량한 기타 소리와 브라스 사운드가 멤버들의 맑은 목소리와 잘 어우러진다. 

 NCT dream은 NCT프로젝트 유닛의 일환으로 런칭된 틴에이저 그룹이다. 멤버 모두가 10대로 구성된 그룹인 만큼 순수하고 풋풋한 소년들의 이야기를 음악과 퍼포먼스로 표현해내고 있다. 데뷔 곡 ‘chewing gum’에서는 첫사랑으로 인해 터질 것 같은 심장을 풍선껌에 빗대어 노래했고, ‘마지막 첫사랑’에서는 “내 남은 인생을 걸고 나에겐 너 뿐이야"라며 패기 있게 고백한다.  

 NCT dream의 성장 뒤에는 높은 퀄리티의 프로듀싱이 있었다. 켄지(kenzie)와 영국 작곡가팀 런던노이즈(LDN Noise)가 곡 작업에 참여해 완성도를 높인 것. 켄지는 이른바 ‘SM의 기둥’으로, 동방신기, 보아,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샤이니, EXO등 SM아티스트들의 대표곡을 만들어 왔다. 런던노이즈는 SM의 ‘송 라이팅 캠프’에서 발굴된 팀으로 샤이니의 ‘view’, 레드벨벳의 ‘dumb dumb’, exo의 ‘lucky one’, ‘monster’, ‘lotto’등을 프로듀싱하며 이름을 알렸다. 

 한편 NCT dream은 독창적이고 역동적인 퍼포먼스로 주목 받아온 바 있다. ‘츄잉검’에서는 호버보드를 이용한 이색 퍼포먼스로 화제를 모았고, ‘마지막 첫사랑’에서는 소년의 사랑이라는 감정을 다채로운 대형으로 표현했다. 이번 'We young'의 퍼포먼스 역시 역동적이다. 청량감 넘치는 음악과 잘 어우러진다. 뮤직비디오는 동화 '피터팬'을 모티브로 했다. NCT dream이 네버랜드에서 유쾌한 모험을 펼치는 모습을 판타지적으로 연출했다. 또한 이번 앨범에는 타이틀곡 ‘We young’의 중국어 버전도 함께 수록되어 있어 NCT dream의 매력을 더욱 잘 느낄 수 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