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乐天音乐厅开馆一周年纪念音乐会指挥One Korea 交响乐团指挥家郑明勋


       “‘One Korea交响乐团’的唯一目标就是希望拉近朝韩关系”,前首尔市立交响乐团艺术总监郑明勋,在纪念乐天音乐厅开馆一周年音乐会‘Br inging People Together with Music’的记者见面会上如是说,“意味着统一的‘One Korea’对韩国人而言,是如同本能般的梦想”。
       在9月18至19日举行的乐天音乐厅开馆一周年的纪念音乐会上,郑明勋将指挥临时乐团“One Korea交响乐团”,并与钢琴家赵成珍一起演绎贝多芬第五号钢琴协奏曲《皇帝》。“One Korea交响乐团”是由韩国代表性管弦乐团成员和音乐大学教授们一同组成的。由首尔大学教授李敬善领衔乐队,世宗独奏家乐团成员梁智仁(音译)担任第一小提琴手,北德广播易北爱乐乐团成员金永道(音译)担任中提琴手,大提琴手则由庆熙大学教授宋英熏(音译)担任。

 

 


       郑明勋在首尔市立交响乐团转变为财团法人后的2005年被聘为艺术顾问,2006年担任艺术总监兼常任指挥家,并将该交响乐团提升至亚洲顶级水平。2015年年末,郑明勋辞去艺术总监一职,现在他在法国广播爱乐乐团和东京爱乐乐团担任名誉音乐总监。

       郑明勋在谈及乐天音乐厅开馆纪念公演时说道“贝多芬音乐的力量来自对‘自由’的渴望,并且从作曲家的意志中展现了出来”,“去朝鲜的时候我也曾说过‘贝多芬是为了自由而战的人’,这话令朝鲜的相关人士感到惊慌”。他还笑着说:“如果是其他人说这番话,那就该去蹲监狱或者被送去煤矿。”郑明勋在2012年担任法国广播爱乐乐团艺术总监时期,曾在巴黎与朝鲜银河水管弦乐团进行过联合演出。郑明勋表示“我迫切地希望朝韩的政治关系能够得到改善”,“我想在我力所能及的范围里,尽自己最大的努力”。他还补充道:“本次演出虽然没有提到宏伟的统一想法,但通过古典音乐,也传达了我们不要忘记统一的信念。”


笔者 张雨 提供资料 news 1

 

 

롯데콘서트홀 개관 1주년 기념콘서트 ‘음악으로 하나되는 곳’ 지휘 

원 코리아 오케스트라 지휘자 정명훈 


"'원 코리아 오케스트라'는 남북이 가까워지길 바라는 목적이 유일합니다." 정명훈 전 서울시향 예술감독은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롯데콘서트홀 개관 1주년 기념콘서트 '음악으로 하나되는 곳' 기자간담회에서 "하나된 한국을 뜻하는 '원 코리아'(One Korea)는 한국인에게 본능과도 같은 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9월 18~19일 롯데콘서트홀 개관 1주년 기념콘서트에서 1회성 프로젝트성 악단인 ‘원 코리아 오케스트라’를 지휘해 피아니스트 조성진과 함께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를 들려줄 예정이다. ‘원 코리아 오케스트라’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오케스트라 단원과 음대 교수들이 모였다. 이경선 서울대 교수가 악장을 맡고, 제1바이올린에 양지인 세종 솔로이스츠 단원, 비올라에 김영도 NDR엘프필하모니 단원, 첼로에 송영훈 경희대 교수 등이 참여한다.
정명훈은 서울시향이 재단법인으로 출범한 2005년 예술고문으로 영입된 뒤 2006년 예술감독 겸 상임 지휘자를 맡아 이 오케스트라를 아시아 정상급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5년 말 예술감독직을 사퇴한 그는 현재 라디오프랑스 오케스트라와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TPO)의 명예음악감독을 맡고 있다.
정명훈은 롯데콘서트홀 개관공연과 관련해선 "베토벤 음악의 힘은 '자유'를 열망하는 작곡가의 의지에서 나온다"며 "과거에 북한에 갔을 때도 '베토벤은 자유를 위해 싸운 사람'이라고 말해 북측 관계자들을 당황시킨 적도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다른 사람이 이런 말을 했다면 감옥이나 탄광에 갔을 것"이라며 웃었다. 앞서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예술감독 시절인 2012년에 그는 파리에서 북한 은하수 관현악단의 합동공연을 펼친 바 있다. 정명훈은 "남북관계가 정치적으로 개선되길 언제까지 기다릴 수 없다"며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고 했다. 이어 "이번 공연에서 거창한 통일 얘기를 꺼낼 생각이 없지만, 클래식 음악을 통해 우리가 통일을 잊지 말자는 뜻을 담았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