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国的毕加索”齐白石韩国画展即将开幕

       中国当代书画大师齐白石(1860 ~1957)是一位活动于中国清末至当代的画家。齐白石擅长画山水画、人物画,并精通书法与篆刻,被誉为“中国的毕加索”。

 

 

 

       齐白石出生于中国湖南省,家境贫寒,由于幼时体弱多病无法干农活,因此齐白石学习雕刻,成了一名木匠。齐白石虽然没有接受过体系化的美术教育,但凭借与生俱来的艺术天赋,逐渐熟悉掌握了诗书画的技能,在20世纪时被称为“近代文人画之父”。
       齐白石晚年时期被聘为中央美术学院名誉教授,1953年当选中国美术家协会主席,并被文化部授予“人民美术家”称号。1963年,齐白石入选世界和平评议会评选的“世界十大文化巨匠”。
       齐白石的作品曾一度在美术拍卖会上被要价数百亿韩元,甚至出现了过热现象。
       齐白石在1946年,也就是82岁高龄时所作的《松柏高立图·篆书四言联》,在2011年北京某美术拍卖会上拍出了4.255亿人民币的天价,创造了中国书画的拍卖价新纪录。
       他的作品价格在世界上仅次于毕加索。根据国际美术网站Artprice的统计,在2010年的美术拍卖会上,齐白石作品的拍卖总额高达3.390亿美元,仅次于毕加索排在第二位。
       中国巨匠齐白石的韩国国内首场大规模画展将于7月31日至10月8日在艺术殿堂首尔书艺博物馆内举行。展览主题为“齐白石·从木工到巨匠”,此次展览是纪念中韩建交25周年以及纪念齐白石逝世60周年的特别展。此次韩国画展将展出湖南省博物馆收藏的齐白石画作和书艺篆刻作品50件,包括《齐白石人物图轴》、《齐白石水牛图轴》、《齐白石杨柳图轴》和《齐白石南瓜图轴》等,此外还将展出齐白石纪念馆收藏的生平文物83件,展出作品共计133件。同时还将展出韩中当代画家30余幅致敬齐白石的画作。

 

ⓒ艺术殿堂


       驻韩中国文化院院长史瑞林在“齐白石韩国展”的记者座谈会上表示,“齐白石先生是中国当代美术中最著名、最具影响力的艺术家”,“艺术为世界文化发展与人类文明的发展做出了贡献”。他还表示:“希望借韩中建交25周年促进两国关系更进一步发展。”


笔者 张雨 提供资料 news 1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