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0중국 군사퍼레이드 대신 무명인민영웅열사탑에 헌화

 

 

 

물을 마실때는 우물을 판 사람을 잊지 않는다. ( 吃水 不忘 挖井人 / 츠쉐이 부왕 와징런) 

 

중국의 주요 국가행사때마다 인민일보등 중국매체들은, 신중국의 현재발전의 근본을 생각하자며, 그동안 항일전쟁을 비롯해 항미원조전쟁 그리고 각종 재해때 인민의 생명과 재산을 구해온 인민해방군등 국가적 영웅과 무명용사들의 공헌을 기억하자는 뜻에서 자주 인용하는 구호인 '츠쉐이 부왕 와징런' 이란 구호가 오늘 9월 30일에도 등장했다.

 

2020년 9월30일 오늘은, 중국당국이 지난 2014년에 법정기념일로 정한 7번째 인민영웅열사기념일이다.

 

인민일보등은 오전. 10시 시진핑 국가주석등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전원과 각계대표 4천명이 천안문광장의 무명용사탑에 헌화하는 기념행사를 가졌다고 보도했다.

 

내일 10월1일은, 1949년 10월 1일 신중국 건국을 선언한지 71년이 되는 날이다. 

 

지난해 70주년은 파시스트제국주의항전전쟁승리를 기념하는 초대형 군사퍼레이드를 거행하며,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위한 국가발전의 결의를 다졌다.

 

지난해 군사퍼레이드에서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인 동펑시리즈등 중국의 군사력의 최고봉이 선보였다. 

 

그런데 올해들어 중국은 코로나19사태로 부터 시작해, 홍콩보안법 제정 그리고 다음달 미국의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미국을 비롯한 서방으로부터 다양하고 거센 압박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건국기념을 하루 앞둔, 이 날의 인민영웅열사기념식은 다른 어느 해보다 더 특별한 의미를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CCTV와 글로벌채널 CCTV4가 전국과 전세계에 예년과 같이 생중계방송을 내보냈고, 중국 전역의 수많은 무영용사의 탑에 수많은 중국의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헌화하는 의식도 함께 거행됐다.

 

이 소식들을 전하는 중국매체들은 한결같이 , 앞서 언급한  "물을 마실때는 우물을 판 사람을 잊지 않는다. ( 吃水 不忘 挖井人 / 츠쉐이 부왕 와징런) " 는 문귀를 제목으로 내걸고 있다. 

 

14억 중국인민이 단결해, 1949년 신중의 건국당시의 각오로 서방으로부터의 압박을 이겨내자는 분위기를 다른 어떤 해보다 각별하게 각인시키고자하는 열망이 담겨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음수사원 ( 饮水思源 / 마시는 물의 근본을 생각한다) 이란 말이 있고, 이 말은 서기544년의 중국남북조시대의 고사에서 유래돼 사장성어로 자리잡은 비교적 익숙한 말이다.

 

 

이 말은 마오쩌동과 직접 관련있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바이두의 설명에 의하면, 마오쩌동은 혁명초기 강서성에서 활동할 때 일행들과 함께 뤠이진성의 샤조우뻬이 ( 瑞金城沙洲坝) 을 지날 때, 우물이 없는 이 마을사람들이 근처 개울에서 깨끗하지 않은 물을 길어 식수로 사용하는 것을 보고, 다음날 혁명동지들과 함께 이 마을을 다시찾아 인민들과 함께 땅을 파서 깨끗한 식수를 얻을 수있는 우물을 파 줬다고 한다.

 

그리고 1949년 신중국 성립이후, 이 마을사람들이 과거 마오쩌동일행들이 파주고 간 우물주위에 석축을 세우고,  ' 물을 마실때는 우물을 판 사람을 잊지 않는다. 항상 마오주석을 그리워한다' (吃水不忘挖井人,항상时刻想念毛主席!) 라고 새겨 비석을 세웠다는 고사를 전하고 있다.

 

이 고사는 중국 소학교 (초등학교) 2학년 2학기 국어교과서에 실려있기도 하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