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美 틱톡매각강요는 강도짓 , 국가 안보 핑계로 알짜중국기업 뺏는 것.

 

중국외교부가 세계인들이 애용하는 틱톡을 매각하라고 강제하는 미국에 대해, 틱톡본사인 바이트댄스가 미국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는 것을 적극지지한다고 밝히면서, 미국내 여론이 묘하게 돌아가 고 있다고 중국언론들의 전했다.

 

기본적으로 중국정부와 중국관련업계는, 트럼프가 미국의 안보를 운운하며 미국인의 정보가 넘어간다고 하는 것은 핑계일 뿐이고, 결국 세계적인 수요자를 가지고 글로벌시장을 석권할 중국의 혁신기업을 그냥 공짜로 삼키려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즉 미국의 트위터같은 문자나 사진중심의 SNS기업은, 결국 빠르게 동영상을 통한 SNS시대로 변하는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곧 글로벌 시장에서 퇴출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미국기업계 스스로 너무 잘 인식하는 상황에서, 미래 미국의 먹거리인 틱톡이나, 중국 인도등 세계적으로 퍼져가는 중국의 트위터격인 웨이신 같은 미래 유망산업을 미국화 하려는 흑심을 품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글로벌산업계의 예측이 적지 않은 가운데, 중국정부와 업계는 사업가출신인 트럼프가 뜬금없이 국가안보를 내세워 중국의 알짜 기업을 거저 가져가려는 것에 대한 미국법원의 소송제기는 그 승률이 매우 높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미국의 사법부가 미국 정치권의 정치논리에 대해 비교적 객관적이라고 생각하는 중국의 시각도 한몫하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이, 중국 외교부는 24일 오후 브리핑에서 자오리젠 대변인의 논평을 통해, " 법의 이름으로 부당한 미국트럼프의 중국기업강탈에 대해 항거하는 자국기업들을 적극지지하는 동시에, 중국과 중국글로벌기업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미국 국내법과 국제법적인 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재차 확인했다.

 

중국외교부는 트럼프대통령의 무리수에 대해 아예 ' 강도' 라는 직접적인 용어를 써가며 결연한 의지를 보였다.

 

중국매체들이 전하는 여러가지 분석을 종합해보면, 중국 외교부의 날선 비판이 나온 것을 보면, 하루 전인 23일에, 틱톡의 바이트댄스 미국법인측이 관할 법원에 정식 소송을 제기한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한 상황이다.

 

이제 미국의 자유경제가 오늘날의 번영을 구가하는 이유가, 미국 사법부가 자유와 법률에 따른 자본주의 경제를 지탱해주고 지지했던 법의 양심때문이었다는 평가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사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만약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미국 사법부도 트럼프와 같은 정치논리로 판결한다면, 결국 세상의 법이란 형식은, 권력자 혹은 권력국가의 정치의 또 다른 수단에 불과하다는, 2천여 년전의 중국 사상가들의 통찰을 다시 한번 되돌이켜 볼 기회가 될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