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35년 중국의 미래전략 완성, 향후 15년이 중국운명 결정.

"2035년 중국 명실상부한 G-2로 미국과 대등한 위치, 2049년엔 G-1 될 것"

 

싱가포르의 연합조보 《联合早报》 은 싱가폴의 최고의 신문이다. 1923년에 창간된 남양상보《南洋商报》와 1929년에 만들어진 《星洲日报》 등 싱가폴 양대 신문이  1983 년 연합조보라는 이름으로 하나로 합쳐진 것이다.

 

인구 약 6백만명의 도시에서 20 여만부를 발행하는 신문이면 싱가폴의 여론은 다 연합조보가 만드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 연합조보가 지난 5월 , 중국양회가 한창 개막중일 때 의미심장한 논평을 게재했다.

 

' 중국은 세계의 미래모습을 전략적으로 잘 만들어나가야 한다. ' < 全球化的未来取决于中国的战略选择>

 

원제가 많이 의역이 됐을 수 있으나 필자는, 그 전후에 중국의 주요매체가 게재하는 중국의 미래에 관한 여러 글을 종합한 결과, 연합조보의 이 논평의 제목은  이렇게 달아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 논평은 먼저 중국이 15년 이후가 되면, 어떤 전략을 택하든 세계의 제 1국가반열에 오른 다는 것을 전제로 , 중국이 세계 제 1국가가 되는 15년 후의 세계를 어떤식으로 만들어 나갈 것인가를 잘 생각해야 한다는게 주요 내용이다.

 

물론 15년후 미국이 여전히 강대국일 수도 있는데, 그렇다면 지금의 G-2 같은 미국에 좀 처지는 강대국이 아니라, 미국과 동등한 국력 ( 국력이라면 우선 군사력이 첫째이고 원천기술등 산업의 위상 그리고 중국문화의 세계적 영향력 등등이 모두 포함될 것이다) 을 갖는 그런 제 1국가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평은, 이번 코로나 19사태를 계기로, 겉으로는 전염병의 원인과 정보은닉등을 가지고 티격태격하는 외양을 보이고 있지만, 어차피 멀지않은 시기에 중국과 서양은 결국 디커플링(decoupling)할 수 밖에 없었는데, 코로나 19로 그 디커플링이 본격적으로 벌어지는 계기가 자연스럽게 앞당겨졌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 논평은, 만약 중국이 서양과의 디커플링을 미리 대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번 사태를 맞고 있다면, 세계 제1국가로 가기위한 중장기적인 디커플링전략을 잘 세워 잘 실천해야 한다고 주문하는 주장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이 신문은 이 중장기적이란 말을 애매하게 쓰다가 논평말미에, 독자들이 그 중장기가 언제 끝나는지을 궁금해 할지 모른다며 자문하고, 15년 안에 중국과 서양의 디커플링의 결과가 드러날 것이라고 결론을 맺는다.

 

그렇다면 중국은 15년후 어떤 모습으로 제 1국가가 되어야 하는가? 세계가 원하는 그런 제 1국가가 되어야 하는가? 아니다. 중국은 15년 후의 모습을 스스로 정해야 한다고 이 논평은 주문한다.

 

사실은, 개인도 집단도 나라도 ,  모두 그 주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서양이 중국에 대해 이런 저런 모습이 되어야 한다고 해서 중국이 그것을 따를 것인가?

 

현재 제 1국가라는 미국은, 미국 이외의 다른 서양국가와 동양국가가 원하는 모습에 따라 저렇게 된 것인가?

 

근대식민지 시절의 강국이었던 영국과 프랑스 독일 네델란드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그리고 남미의 식민지 국가들이 제발 나를 식민지 나라로 만들어 달라고 요구해서 그런 해가 지지않는 제국주의국가가 되어 그 많은 나라를 수탈했던가?

 

연합조보는 중국에게,  시장의 운영방식을 어떻게 할 것인가, 외국과의 개방성을 어느정도로 조절할 것인가, 그리고 국제외교에 있어서 어떤 가치를 가질 것인가의 큰 3가지 골격을 정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 신문은 그러면서, 혹자는 내무와 외교가 분리될 수있는 것처럼 생각하는데, 외교는 내부의 연장이고, 외교는 내부에 영향을 미치는 한 몸이라고 단도리하는 논조를 펼친다.

 

필자에게는,  이 부분이 혹 홍콩문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느껴졌다.

 

그리고 이 논평이 마지막 부분에 언급한 역사의 불가역성과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으로 미루어, 중국은 어차피 세계 대국(제국)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중국이 세계 대국 (제국)으로 나아가는 길에 누가, 무엇이 있는지 독자들도 다 알것이다.

 

 

이 논평이 언급한 15년이라는 숫자는 공교롭게도, 장쩌민 주석에서 시작해, 후진타오 주석을 거쳐, 시진핑주석까지 이어지는  '두 개의 백년' 가운데, 두번째인 '신중국건국 백주년 과업' 수행의 1차 완성년도인 2035년과 맞닿는 부분이 있다.

 

그 2035년도 앞으로 15년 뒤이다. 

 

요즘 중국의 미래관련 여러 논평과 소식에서 15년이라는 숫자가 부쩍 자주 등장하는 것같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