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쟁에서 병사를 운영하는 것은 흐르는 물과 같다. 물이 모양이 없듯 병을 운영하는 데 정해진 모델이 없다. 변화에 맞춰 승리를 취하면 되는 것이다.”

“故兵無常勢, 水無常形; 能因故變化而取勝者, 謂之神”
(고병무상세, 수무상형; 능인고변화열취승자, 위지신)

“전쟁에서 병사를 운영하는 것은 흐르는 물과 같다. 물이 모양이 없듯 병을 운영하는 데 정해진 모델이 없다. 변화에 맞춰 승리를 취하면 되는 것이다.”

“故兵無常勢, 水無常形; 能因故變化而取勝者, 謂之神”
(고병무상세, 수무상형; 능인고변화열취승자, 위지신)

전쟁의 신 손자의 말이다. 전쟁의 이기는 길을 명쾌하게 풀어냈다. “변화에 맞춰 승리하는 것이다.”고 했다.
전체 의미를 한자 그대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고로 병은 고정된 모양이 없다. 물이 형태가 없는 것과 같다; 변화에 맞춰 승리를 쟁취하는 자가 바로 신이다.”
그렇다. 승패는 변화 속에 나오는 것이다.
변화에 따라 승리를 취하는 자가 승자요, 변화에 따라 패배를 취하는 자가 패자다. 승자는 왕이되고 패자는 노예가 된다. 간단한 이치다.
모든 것이 변화가 가져다주는 것이다. 변화 속에 나오는 것이다.
그럼 승패를 가르는 변화는 어떻게 따라야 하는 것인가?
물처럼 따라야 하는 것이다. 모양을 가지고 맞서는 게 아니라 그 변화의 모양에 맞춰야 하는 것이다.
본래 물의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한 이가 노자다.
노자는 물의 특성을 몇 가지를 꼽았다.
우선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른다. 물을 웅덩이가 몇 개가 되던, 깊이 얼마나 되던 다 채우고 흐른다. 물은 수많은 물방울이 모여서 흐른다.
물은 그 물방울이 크던 작던 더럽던 깨끗하던 가리지 않는다. 다 받아들여 조끔씩 흐른다.
물방울을 약하디 약하지만 바다의 물은 강하디 강하다.
노자는 물의 이런 특성을 한마디로 최고의 선, ‘상선’(上善)이라 했다.
‘위가 무엇이고, 아래가 무엇이냐’고 묻던 노자다. 모든 게 그렇게 자기 특성 그대로 가치가 있다고 한 이가 노자다.
그런 노자가 물만은 앞에 ‘상’(上)이라는 호칭을 덧붙였다. 어느 인간들의 극상 보다 더 높은 상이다.
그런 물은 최고의 선이다. 손자에게는 무엇에게도 이기는 ‘무적의 선’이다.
요즘 코로나 19가 우리 사회 새로운 변화에 불을 붙였다. 세상은 코로나 이전의 세계 BC와 이후의 세계 AC로 나뉜다고 한다.
그런 막대한 변화가 예고되는 게 이번 코로나 사태다. 누군가는 새로운 세상의 승자가 되고 누군가는 이 새로운 세상에 패자가 된다.
무엇이 그 차이를 만드는가? 바로 변화를 어떻게 따르느냐다.
상선의 방법으로, 무적의 방법으로 따를 때만 변화를 주도하는 승자가 된다. 과거 손자가 그랬고, 오늘날의 수많은 최고경영자들이 그렇다.
손자는 그런 이들을 “바로 신(神)이다”고 했다. 옛 전쟁의 신, 오늘날 경영의 신이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석탄도시로 유명했던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 경제 관광 도시로 변신에 성공해 중국에서 화제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문화

더보기
[영 베이징] '관광+ 문화' 융합 속에 베이징 곳곳이 반로환동 변신 1.
‘문화유적 속에 열리는 여름 팝음악 콘서트, 젊음이 넘치는 거리마다 즐비한 먹거리와 쇼핑 코너들’ 바로 베이징 시청취와 둥청취의 모습이다. 유적과 새로운 문화활동이 어울리면서 이 두 지역에는 새로운 상권이 형성됐다. 바로 관광과 문화 융합의 결과라는 게 베이징시 당국의 판단이다. 중국 매체들 역시 시의 놀라운 변화를 새롭게 조망하고 나섰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은 앞다퉈 두 지역을 찾아 르뽀를 쓰고 있다. “평일에도 베이징 시청구 중해 다지항과 동성구의 룽푸스(隆福寺) 상권은 많은 방문객을 불러모았다. 다지항의 문화재 보호와 재생, 룽푸스의 노포 브랜드 혁신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했다. 그뿐 아니라, 올여름 열풍을 일으킨 콘서트가 여러 지역의 문화·상업·관광 소비를 크게 끌어올렸다.” 베이징완바오 기사의 한 대목이다. 실제 중국 각 지역이 문화 관광 융합을 통해 ‘환골탈퇴’의 변신을 하고 있다. 베이징시 문화관광국 자원개발처장 장징은 올해 상반기 베이징에서 ‘공연+관광’의 파급 효과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형 공연은 102회 열렸고, 매출은 15억 위안(약 2,934억 6,000만 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