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것이 바로 중국의 책임 있는 태도야 !"

우한시 사망자수 수정에 대한 중국 네티즌 반응

 

 1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에 "중국은 방금 보이지 않는 적으로 인한 그들의 사망자 수가 2배로 늘었다고 발표했다. 실제는 그것보다 훨씬 많고 미국보다 훨씬 많다, 아직 멀었다"는 글을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진원지로 알려진 후베이성 우한시의 누적 사망자를 기존 발표보다 천290명 늘어난 3천869명으로 수정한 것을 지적했다.

 

 우한시 측은 통계 수정에 대해 입원 치료 없이 자택에서 사망하거나 병원 과부하로 지연과 보고 누락 등이 겹쳤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중국의 통계 수정에 대해 세계보건기구, WHO는 "문서화되지 않은 사례가 없도록 하기 위한 시도"라며 중국을 옹호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중국을 겨냥해 "중국 공산당과 WHO가 국제 공간에 정보를 제때 공개하지 않았다는 것은 이제 명백하다"며 "그 결과는 우리가 지금 팬데믹, 즉 세계적 대유행을 겪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음은 우한시 사망자수 수정에 대한 중국 네티즌 반응이다.

 

우한의 코로나 사망자 수를 수정한 것은, 책임을 지는 정부의 모습을 실현한 것이고, 역사와 인민들에 대해서 책임을 진 거야. 실사구시적이고, 오류를 가감하게 수정하고, 제때에 잘못된 것을 바로잡은 것은 칭찬할 만하지. 이러한 모습을 대대적으로 제창해야 하는데, 이것은 어렵지 않아.

 

고인이 된 동포들에게 애도를 표하고, 진실을 추구하는 정부에 찬사를 보내.

 

이것은 고의로 은폐한 것이 아니며, 초기에 의료자원이 무너진 상태에서, 자택 사망, 집계 불가와 구난 기간 중 통계 오류도 이해해야 해.

 

이것은 책임 있는 태도야.

 

이런 태도에 만점을 줄래.

 

데이터 숫자상으로 사실적이고 신뢰할 수 있도록 하면, 정부의 공신력은 크게 향상될 거야.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