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세월호, 둥팡즈싱(東方之星, 동방의 별)’호

 

 2014년 4월 16일 오전, 베이징에 위치한 법인 사무실에서 세월 호 참사 소식을 접했다.

 

중국 TV에서 메인 뉴스로 생중계했다. 바다 속에 있는 실종자를 단 한 명이라도 구조하기를 기다렸지만, 희망은 체념으로 체념은 슬픔과 분노로 바뀌어 갔다.

 

 중국 시진핑 주석은 “세월 호 침몰소식을 접하고, 대규모 사상자와 실종자가 많은데 대해 충격을 받았다. 특히 청소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더욱 비통함을 느낀다. 한·중 양국 국민은 깊은 우의를 갖고 있으며, 언제든지 한국 측에 필요한 지원과 도움을 제공하기를 원한다.”며 애도를 표했다.

 

 같은 해 반영된 중국 TV 드라마 대사다. ‘虎妈猫爸‘(호랑이 엄마, 고양이 아빠)라는 가족드라마에서, 딸의 소풍 참석을 두고 고부간 의견 충돌 중에 "한국에서 수학여행 가는 학생들을 태운 배가 뒤집어져 많은 학생들이 죽었어요. 만약 우리 딸이, 어머니 손녀가 탄 버스가 뒤집어지면 어떡해요?" 라고 세월 호 참사가 인용되기도 했다.

 

 세월 호 참사발생 일 년여가 조금 지난 2015년 6월 1일 중국 양쯔(揚子)강 중류인 후베이(湖北)성 젠리(監利)현 인근에서 승객과 승무원 456명을 태운 여객선 ‘둥팡즈싱(東方之星, 동방의 별)’호가 침몰했다.

 

 사고 선박은 장쑤(江苏)성 난징(南京)을 출발해 충칭(重慶)으로 향하고 있었다. 승객들 중에는 난징과 창저우(常州), 상하이(上海) 등에 거주하는 50~80세 연령대의 단체여행객이 많았다.

 

 둥팡즈싱(東方之星)호의 침몰은 수 백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것과 선장과 기관장 등이 먼저 탈출해 육지로 나왔기 때문에, 이 사고 역시 ‘세월호식 대응’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다.

 

 그러나 세월 호와 둥팡즈싱 호 사고를 처리하는 정부의 초기 대응은 너무나 차이가 있었다. 둥팡즈싱 호가 침몰한 시간은 밤 9시29분이었고, 관영 매체는 다음날 새벽 4시24분 첫 보도를 내보냈다.

 

 첫 보도가 전해진 시각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이미 전용기를 타고, 사고 현장으로 향하고 있었다. 리커창 총리가 전용기 안에서 각 부처 장관 및 전문가와 구조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는 장면은 TV를 통해 전국으로 방송됐다.

 

 리 총리는 사고 현장에 도착한 뒤 둥팡즈싱 호 바로 앞까지 배를 타고 가서 현장을 직접 살핀다.  그는 인근에서 동원할 수 있는 잠수부들을 모두 소집해서, 수중 구조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지시한다.

 

 잠시 후 낮 12시52분  65세 할머니가 극적으로 구조된다.  이 장면 역시 TV로 생중계가 되며 14억 명 중국인을 극적으로 감동시킨다.  리커창 총리가 현장에서 이를 지켜보고 있었음은 물론이다.

 

 중국 정부는 사고 발생 72시간이 지나자, 곧바로 선체 인양 결정을 했다. 반대하는 목소리는 철저하게 통제됐고 희생자 가족들의 의견도 반영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고를 신속하게 수습함으로써 국론 분열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초기 대응 과정에서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했다면 불가능 했을 것이다.

 

 세월 호 사고 당시 우리 국민들은 현장에서 국가 지도자를 찾아볼 수 없었다. 그 이후 세월 호 참사의 진상을 밝혀달라며 가족들이 광화문광장에서 목숨을 건 단식을 이어갈 때, 그 앞에서  치킨과 피자를 먹으며 '폭식투쟁'으로 조롱하던 이들이 있었다.

 

 왜 국가가 교통사고를 책임져야 하냐는 일부 정치인들의 망언도 이어졌다. 세월 호 가족들에게 쏟아 부었던 수많은 비난 중에는 아이들 죽음으로 장사한다는 혐오 또한 있었다.

 

 2017년 3월 23일 오전 3시 45분, 3년 동안 바다 속에 가라앉아있던 세월호가 마침내 물 위로 모습을 드러냈다. 침몰한 지 1073일 만이었다.  둥팡즈싱 호 인양 작업업체인 '상하이 샐비지'가 건저 올렸다.

 

세월 호 참사 6주기를 맞았다.

 

세월 호 사고 희생자들의 영령 앞에 삼가 명복을 빕니다.

 

 

 

 

 

 

 

 

 

오승찬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