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2월 신차 판매대수 사상 최대의 감소폭 기록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2020년 2월 신차 판매대수가 사상 최대의 감소폭을 기록하면서 31만대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승용차 판매는 지난해 동월에 비해  무려 86.1%가 감소한 22만4000대에 그쳤다.

 

 신에너지차(NEV) 판매량도 8개월째 연속해서 감소한 가운데, 작년 같은 달보다 75.2% 줄어든 1만2900대다.

 

 1~2월 신차 판매량은 모두 223만8000대로 작년동기 대비 42%나 줄었다.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4S점이 줄줄이 문을 닫고, 소비자의 구매의욕도 크게 감소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와 경기둔화로 인해 감소세를 보여 온 중국의 신차 판매량은 코로나19가 겹치면서 큰 타격을 입은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중국 정부가 방역대책으로 춘절 연휴를 연장하고 주민의 외출을 통제해, 휴업한 4S점도 많고 생산라인을 멈춘 자동차 메이커가 속출했다.

 

 메이커별로는 독일 폭스바겐과 미국 제너럴 모터스(GM)의 합작사 2월 판매가 작년 같은 달보다  90%나 줄었으며, 도요타 등 일본차 역시 70% 이상 격감했다.

 

 중국 최대 상하이 자동차는 87%, 창청(長城) 자동차 85%, 저장지리(浙江吉利) 75% 각각 판매가 줄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향후 전망을 통해 자동차 시장이 3월에는 회복세를 보이고,  7~9월에는 정상으로 복귀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 국내 자동차 메이커는 정부에 소형 자동차에 대한 취득세 인하,  판매지원 조치 강구, 배출가스 기준 완화, NEV 보조금 연장, 충전소 등을 요구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