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호흡기내과 의사 또 감염 사망

후베이성 효감시센터 근무…추도식 안 열어

 코로나19 확산으로 일반 감염자뿐 아니라 의료인 감염자 사망이 잇따르고 있다. 후베이성 효감시센터병원에 근무하던 호흡기내과 의사가 또 사망했다. 중국 의료 당국은 현재의 상황을 고려해 장례식을 열지 않기로 했다.

 

 

 효감시 센터병원 호흡내과 부주임의사 겸 중국공산당 당원인 황문군(42)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사망했다. 현재 상황을 감안하여 추도회를 열지 않기로 했다.

 

 효감시 센터병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황문군의사가 중국공산당 당원이고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 6월 우한대학교 의대 임상의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8월부터 현재까지 효감시 센터병원 호흡기내과에서 일하고 있었다. 2004년부터 2005년 1년간 화중과기대 퉁제병원 호흡기내과에서 수습 공부했다. 2006년 12월 주치의로 임용됐다. 2012년 부주임으로 초빙됐다. 기흉과 흉강 적액, 폐 감염, 기관지 확장,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폐암의 치료를 잘하고 호흡기 내과의 각종 내시경 조작, 호흡 개입 치료 기술, 호흡기 치료 등에 능하다. 과제 5항목에 참가하여 논문 7편을 작성하였다.

 

중국 정부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더욱 중시하여 통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