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공연계 신종코로나에 직격탄…티켓도 '폭탄세일', 그래도 판매 부진

일부 뮤지컬 60% 넘게 세일…예매 취소도 잇달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확산에 공연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감염 공포 탓에 공연 자체가 취소되고 예매 취소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정상가의 50%가 넘는 염가 표들이 난무하고 있다.

 

4일 공연계에 따르면 정상가 13만원인 뮤지컬 '빅 피쉬'의 R석(30매)은 이날 현재 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빅 피쉬는 오는 8일 예술의전당에서 공연된다. 무려 62% 싼 ‘폭탄세일’인 것이다.

 

현재 예술의 전당 사이트에서는 지난달 31일부터 이 가격의 판매 안내를 하고 있다.

공연기획사와 예술의전당 측은 이번 세일이 신종코로나 탓은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정상가에 잘 팔리는 공연이 폭탄 세일을 할 일은 없는 것이다.

 

폭탄세일 공연은 이 뿐만이 아니다.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의 실내악 공연도 반값에 나왔다. 이 연주회는 오는 13일 예술의 전당에서 진행된다.

 

 

 

문화 소비자들이 기존 구매했던 표를 취소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오는 14~1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예정된 서울시향의 '부활' 공연은 이미 완판됐었지만, 최근 예매됐던 표들의 취소가 잇따르고 있다. 이미 40석 가까이 취소가 진행됐다.

이 공연은 오스코 벤스케 음악감독의 취임 공연이어서 화제를 모았던 것이다.

 

공연이 취소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보스턴 심포니의 첫 내한 공연이 취소됐다. 서울시향의 '퇴근길 콘서트', KBS교향악단의 '토요타 자선 병원 콘서트' 등도 취소되거나 무기한 미뤄졌다.

 

홍콩필하모닉의 공연의 예매율도 낮은 편이다. 홍콩필하모닉은 지난해 그라모폰의 '올해 오케스트라'에 선정돼 공연 자체가 주목받았다. 여기에 얍 판 즈베덴이라는 거장급 지휘자가 지휘를 맡아 호사가들이 공연 날만 손꼽기도 했다.

 

(박정연 기자·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