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만, 첫 내지 '우한 폐렴' 감염자 발생...보건당국 비상

이전에는 내륙에서 감염된 이들이 입국한 사례만 있어.

 

 대만 내에서 첫 ‘우한폐렴’ 감염자가 나왔다. 그동안 대만에서는 감염된 중국 내륙인들의 발병 사례만 보고됐었다. 이에 대만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29일 둬웨이 등 중화권 매체 등에 따르면 대만 보건당국은 전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관계자는 회견에서 “이날 오전 2명의 새로운 확진자가 발생했다”면서 “이 중 한 명은 중국에 사는 부인에게 전염된 님성”이라고 밝혔다.

 

 당국에 따르면 이번 첫 대만 내 감염자는 가정에서 환자를 돌보다 전염된 것으로 보인다. 대만 내에서 발생한 첫 환자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대만 당국은 첫 전염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방역 단계를 올리면서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의료용 마스크를 수출할 수 없도록 하는 긴급명령을 발동하는 한편 마스크 생산업체들에게 24시간 공장 가동을 요청할 방침이다.  공장들을 대상으로 생산라인 증설 자금도 신속히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대만은 상황이 심각해지면 다음달부터 중국 본토인 입국을 전면 금지하는 것을 검토중이다.

 

 대만은 지난 2003년 사스 사태 때 큰 타격을 입은 바 있다. 여기서 교훈을 얻은 대만은 2004년 세계 최초로 중앙전염병 센터를 설립해 체계적으로 전염병 대처에 나서고 있다.

 

 따라서 이번 사태에서 다른 나라들보다 월등히 대처를 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정치인들의 간섭을 철저히 배제해 효과적으로 전염병 확산을 막아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이날 현재까지 대만에서는 총 8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총 578명이 ‘우한 폐렴’ 증세를 보여 검사 중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