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자살 예고 SNS 글 보고 8000㎞ 밖에서 구조

중국서 올린 글 네덜란드 로봇이 자동 인식
‘온라인 구조팀’ 현장 출동해 병원으로 옮겨

인터넷은 전자상거래, 문화, 언론 등 모든 면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제 사람들은 신문을 보지 않고 포털로 기사를 읽고 집에서 쇼핑을 즐긴다. 더욱 놀라운 일은 인터넷이 국경을 초월해 자살을 예방한다는 것이다.

 

올해 밸런타인데이가 지난 후 이모(21)씨는 ‘내가 못 견디겠어요. 먼저 떠날께요’라는 글을 SNS에 남기고 극약을 먹고 의식을 잃었다. 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이씨는 많은 빚을 지고 있었고 우울증도 앓았다. 이 때문에 휴학 후 집에 있으면서 자살할 마음이 생겼다.

이씨는 자살을 결심하고 어느 누구에도 이같은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에서 8000㎞ 떨어진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서 '수동 로봇 002호'라는 프로그램이 이씨의 SNS의 글을 자동 인식했다.

중국 각지의 봉사자들이 온라인 구조팀을 구성했다. 이씨가 의식불명 상태에 빠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후 자원봉사자들은 경찰에 신고했고, 그는 성공적으로 구조되어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씨의 사례는 놀라운 일이지만 이것은 ‘온라인 구조팀’의 일상이 되지 오래다다. 지난 1년 반 동안 온라인 구조팀은 이 로봇 프로그램을 통해 1000여건의 자살을 막았고, 구한 자살자만 700여명에 이른다.

현재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봉사자 점점 늘어나고 있어 더욱 많은 사람들이 빠르게 구조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