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장품업계, “中 소비자 잡아라”…열띤 광군제 마케팅 벌여

한정판매 상품 출시 등 다양한 행사 진행

중국 최대 쇼핑일인 '광군제'(光棍節·11월11일)를 맞아,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내 화장품 업계가 치열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앞서 중국의 화장품 수입국 1위는 한국이었으나, 지난 1분기 일본에 뺏긴 바 있다. 이에 업계는 이번 광군제에 매출을 상승시켜 1위 자리를 되찾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광군제를 앞두고 가장 열띤 마케팅을 펼쳤다.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초부터 광군제 전용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한정 상품과 할인행사를 준비했다.

특히 지난 3분기 온라인 매출 증가로 '깜짝 실적'을 이뤄낸 만큼, 광군제를 맞아 온라인 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달 18일부터 사전 예약으로 '설화수', '라네즈' 등 대표 브랜드를 통해, 윤조에센스 광군제 한정제품, 설화수 베스트 제품 한정 패키지 상품을 출시했다. 광군제 예약 판매는 예약금(10% 내외)을 결제한 후 광군제 당일 잔액을 추가 결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미 현지 온라인 쇼핑몰 '티몰'(톈마오·天猫)에서 몇몇 한정판은 예약이 끝났다.

 

한편 LG생활건강도 대표브랜드 '후', '숨', '오휘', '빌리프' 등을 내세워 마케팅 전쟁에 합류했다.

'후'는 주력 제품 '천기단 화현' 세트와 '비첩 자생 에센스', '공진향 수연세트'를 중심으로 예약 판매를 진행했으며, 이 가운데 천기단 화현 세트는 지난달 21일 예약판매 개시일에만 무려 11만 세트가 예약됐다.

 

또한 LG생활건강은 광화문을 배경으로 제작한 브랜드 영상을, 광군제 당일까지 티몰 메인 페이지에 실을 계획이다.

온라인 생방송도 실시한다. 브랜드별로 왕훙(網紅·인터넷 파워블로거)의 티몰 온라인 생방송을 방송해 주요 제품을 중국 소비자에 소개할 예정이다.

 

‘AGE 20s(에이지투웨니스)’가 대표상품인 애경산업도, 전 제품을 대상으로 최대 50%까지 할인해주는 행사를 진행한다.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빨간색을 이용한 한정판 '시그니처 모던레드 에디션 세트'도 준비했다. 이 세트에는 애경의 대표 브랜드 'AGE 20's'(에이지투웨니스)의 대표 상품들이 포함됐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중국 화장품 수입국 1위였던 한국이 올해 일본에 자리를 내주면서 업계의 충격이 크다"면서 "중국에서 화장품 소비가 가장 많이 이뤄지는 광군제를 맞아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