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터넷 폭력을 중단하라” - 설리 사망소식 후

여배우 설리 추모 이어져

 

가수 겸 배우 최설리(본명 최진리, 25세)가 14일 자택에서 자살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중국에서도 추모의 물결이다. 네티즌들은 설리의 죽음이 악플로 인한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분노를 쏟아 냈다.

 

설리의 소속사인 SM엔터테인먼트는 15일에 유족의 뜻에 따라 병원 장례식장에 팬들을 위한 조문 장소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매니저는 설리가 생전에 심한 우울증을 앓았다고 말했다.

 

설리는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연예인이다. 14일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설리 사망’이라는 웨이보 사이트 핫 검색어가 한동안 마비되기도 했다. 15일 사망소식 확인 되자 많은 중국 연예인들이 인터넷 폭력을 중단하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웨이보 댓글>

 

넌 늙지 않을 거야...가장 아름다운 나이에 영원히 멈춰 있을 거야...

 

이 빌어먹을 우울...

 

잘 가십시오! 모두가 다른 사람의 말이 무섭다는 것을 깨닫기를 바랍니다!

 

나는 진리를 알고 있었다. 그러나 나는 그녀의 팬이 아니었다. 어제 오후에 그녀가 죽었다는 것을 알고 마음이 괴로웠고 믿기지가 않았다. 네가 천국에서 고통 없이 잘 나아가길 바란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