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중 무역협상 의제 좁혀

10·11일 협상 분수령…협상 타결 가능성도

미중 무역협상에서 의제가 좁혀지면서 협상 타결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중국 관영매체 뿐 아니라 미국 언론도 이를 잇따라 보도하면서 미중 무역전쟁이 마무리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중국측이 다가오는 미중 무역협상에서 논의할 문제의 범위를 크게 좁혔다고 블룸버그 뉴스가 6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중국 측 수석대표인 유학(刘鹤) 국무원 부(副)총리가 "중국이 산업정책이나 정부보조금 개혁을 고집하지 않을 것"이 라고 전했다. 산업정책과 정부보조금은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에 대한 두 가지 불만사항이다.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탄핵 절차에 묶여 있는 데다 미국 경제 데이터가 계속 약해지면서 무역협상에서 중국이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중 양국은 이번주 워싱턴에서 무역 협상을 예고하고 있다.

 

미중 간 새로운 협상을 앞두고 소식통들이 가장 큰 불확실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8일 중국측 대표단이 워싱턴을 방문해 10월 10일부터 10월 11일까지 미 무역대표 라이트 시저(Robert Lighthizer), 재무장관 누친(Steven Mnuchin) 와 함께 협상할 것이라 보도했다.

 

중국 관영 환추시보(环球时报)는  불확실성의 가장 큰 원천은 10월 15일로 예정된 워싱턴의 관세율 인상 유예 여부라고 전했다.

 

그동안 미중 무역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서로 선의를 표했다. 중국 정부가 미국 상품 16개 품목에 대해 1년간 관세 추가 징수를 중단한다고 11일 밝혔다. 곧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2500억달러의 중국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로이터통신은 새로운 무역협상이 시작됐지만 양측이 양보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상무부는" 중국이 양측이 합의한 부분에 대해 미국과 합의할 준비가 돼 있으며 2020년 무역협정이 타결될 수 있도록 시간표를 만들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고 폭스뉴스(Fox News) 재경방송의 한 기자가 트위터에서 전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월 7일 이번 주 미중 무역협상에 대해 낙관적이지만, 그는 일부 합의에 만족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중국이 '합의하러 왔다'고 생각한다"며 미국이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를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