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하이코스트코 소비자 불만 팽배...네티즌, "조금 부끄럽다."

마오타이·수정방 품절에 우유 등은 가격 올라

회원제 대형마트인 코스트코상하이에 소비자들이 몰리면서 인기 품목이 품절되고 일부 품목은 가격이 오르고 있다.

 

지난달 27일 개장한 코스트코상하이는 3일만에 1498위안이던 비천마오타이가 품절됐다. 수정방 특가술도 매진됐다. 일부 품목은 가격이 올라 32.9위안이던 냉장우유 2병은 53.9위안으로, 919위안이던 오량액도 1069위안으로 상승했다. 일부 소비자들은 몇몇 품목의 가격이 오르자 299위안을 내고 만든 회원카드를 환불하느라 소동을 빚기도 했다.

 

웨이보에는 다양한 글들이 올랐다. 한 네티즌들은 “가격을 비교해 보면, 가격을 올려도 싸다. 코스트코의 상품은 품질이 모두 보장되어, 품질이 좋고 값도 싸다”고 했고, 다른 네티즌은 “2백위안인데 꼭 환불해야 되냐? 우리 엄마 다른 마트에서 회원카드 만든 것도 이 정도는 하는데”라고 말했다.

 

 

웨이보 댓글:

 

거저 이백위안인데 꼭 환불하야 되냐? 우리 엄마 다른 마트에서 회원카드 만든 것도 이 정도는 한데...그리고 코스트고 혜택은 이미 엄청났어...왜 이런 행동이 나쁘다고 하지 말라는 거야? 나는 사실 좀 창피 한다고 생각해...

 

좀 창피하다...

 

ㅋㅋㅋ중국의 국정이 그렇게 복잡한데 어떻게 이전의 패턴을 그대로 답습할 수 있겠나...중국 아줌마한테 돈을 벌고 싶으면 시장조사가 제대로 하야지

 

가격을 비교해 보면, 가격을 올려도 싸다. 코스트코의 상품은 품질이 모두 보장되어, 품질이 좋고 값도 싸다. 이 카드 환불 서비스는 사실상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것으로, 이미 아주 좋은 애프터서비스인데, 지금 이렇게 하면, 환불 서비스는 없을 가능성이 크며 소비자 집단 전체의 손상이다.

 

상업행위는 손익을 자임할 뿐이다. 중국인을 비난하는 것보다는 시장 조사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지...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