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대학생 10명중 9명 ‘취업난 우려’

청년웹사이트 381개 대학교 학생 설문 조사
50% 대학원 진학 예정…희망월급 5000위안이상

중국 대학생들의 취업난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생 10명 중 9명이 취업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고, 5명은 졸업 후 대학원 진학을 희망했다. 학생 80%는 희망 월급으로 5000위안(元) 이상을 받기 원했다.

중국청년웹사이트(中国青年网)가 381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87.93%의 대학생이 취업에 대해 걱정을 했고, 12.07%만이 “너무 걱정 할 필요 없다”고 응답했다.

 

취업 전망을 걱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0.87%가 ‘인턴 경험 부족’을 꼽았고, ‘사회에 대한 인식 결핍’(65.88%)과 ‘취업 방법과 스킬의 부족’(57.74%) 등이 그 뒤를 따랐다.

대학생들의 장래 희망 가운데 대학원 진학이 55.91%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취업(28.87%)과 공무원 시험(4.46%), 창업(3.94%) 등의 순이었다. “취업을 생각해 본적이 없다”는 응답도 3.15% 로 나타났다.

취업 도시 조사에서는 37.01%의 학생이 쿤밍(昆明) 등 비교적 경제력이 높은 ‘일선 도시’를 선택했고, 33.33%의 학생은 베이징과 상하이, 선전과 광저우 등 중국 내 경제수준이 가장 높은 ‘일선 도시’를 택했다.

예상 임금 조사에서 5000~8000위안을 받길 원하는 학생이 39.11%로 가장 많았고, 1만위안 이상(27.82%), 8000~1만위안(16.54%), 8000~5000위안(14.96%), 3000위안이하(1.57%) 순이었다.

 

대학생들이 취업에서 제일 많이 고려하는 요소로는 ‘개인 발전 전망’이 42.78%로 가장 높았고, 임금(28.08%)과 개인취향(10.24%), 직업 안정성(6.82%), 근무시간과 스트레스(4.2%), 근무 장소(1.84%) 순이었다.

대학생들은 자신의 취업 경쟁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실천’(88.05%)을 손꼽았고, ‘전문적인 지식 강화’(85.56%)와 ‘다양한 인턴 경험(79.53%), ‘의사소통 능력 향상’(74.5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학생들은 졸업 후에 직장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응답자의 84.51%가 ‘직장 다니면서 다른 직장을 알아본다’고 답했다. 사직을 선택한다는 응답이 9.45%였고, 계속 직장을 다닌다는 응답자도 6.03%로 나타났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